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대한민국의학한리무언, 18개 제외한국과학기술자협회(이하 재외과협)와 공동으로 지난 3일(이하 현지시간) 코로나19(COVID-19) 관련 ‘각국의 방역과 백신·치료제 개발 현황과 시사점’을 주제로 국제 온라인 공동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윤주흥 미국 피츠버그 의과대학 조교수는 “현재 코로나19 치료제로 거론되고 있는 렘데시비르오 관련해 최근에 진행된 실험에서는 코로나19 중증환자에게는 효과거 없고, 경증에 투여했을 때 퇴원시기를 앞당기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흑인이나 아시아인보다는 백인에게만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있다”고 말했다.
렘데시비르는 현재로서는 유일한 코로나19 치료제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달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렘데시비르를 투약한 중증 환자의 회복 기간이 플래시보(위약)를 투약한 중증 환자들에 비해 15일에서 11일로 약 31% 단축했다.
이에 대해 윤 조교수는 “현재 코로나19 치료제로 렘데시비르고 가장 유망한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 효과는 추이를 더 지켜봐야 한다”고 전했다.
|
앞서 질병관리본부는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가 렘데시비르의 국내 도입을 제안함에 따라 식약처에 특례수입을 요청한 바 있다.
렘데시비르는 길리어드사이언스에서 당초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하던 항바이러스다. 에볼라 치료제로는 허가받지 못했지만 코로나19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주목을 받았다.
윤 조교수는 “한국을 포함한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약 79개의 변이가 발견됐다”면서 “미국과 유럽은 한국에서의 바이러스와 다른 바이러스 변이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한국의 경우 엄청나게 많은 테스트를 했고, 전체 검사 환자 중 양성률이 1%를 조금 넘는 반면 미국은 검사를 적게 했고, 양성률이 13%에 이르는 것”이라면서 “바이러스 검사를 적게 진행하기 때문에 진단이 되지 않은 바이러스를 지역 사회에 전파할 기회를 줬다. 진단을 일찍 할수록 또 검사를 폭넓게 할수록 감염자 수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라고 전했다.
더불어 윤 조교수는 “사회적 거리두기 뿐만 아니라 개인의 방역, 마스크 쓰기와 유증상시 테스크, 접촉자 추적 등을 병합하면 총 의료시스템에서 감당할 수 있는 정도의 환자 발생을 유지할 수 있었다”라며 “그런데 미국의 경우 문화적인 이유로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면서 접촉자 추척, 거리두기 등을 못했던 게 감염자 희생자가 많은 이유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