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18일 광주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37주년 기념식’에서 광주민주화운동과 함께 “1987년 6월항쟁과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의 맥을 잇고 있다”고 선언했다.
광주 정신 계승 강조..“문재인 정부는 광주민주화운동 연장선”
박근혜 정권을 탄핵으로 몰아내고 문재인 정부가 이르게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 촛불집회에 대해서도 “오월 광주는 지난 겨울 전국을 밝힌 위대한 촛불혁명으로 부활했다”면서 “새 정부는 5.18민주화운동과 촛불혁명의 정신을 받들어 이 땅의 민주주의를 온전히 복원할 것”이라고 민주정부의 정통성을 피력했다.
문 대통령은 보수정권에서 상대적으로 홀대 받아온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 복원에 기념사 많은 부분을 할애했다. 그는 △5·18 민주화운동의 진상 규명 △5·18 정신 헌법전문 수록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등 뚜렷한 메시지를 던졌다.
문 대통령은 “헬기 사격까지 포함해 발포의 진상과 책임을 반드시 밝혀내겠다”며 “5·18 관련 자료 폐기와 역사 왜곡을 막고, 전남도청 복원 문제를 광주시와 협의·협력하겠다”고 했다. 이어 “완전한 진상규명은 진보와 보수 문제가 아니라 상식과 정의의 문제”라며 “국민 모두가 함께 가꾸어야 할 민주주의 가치를 보존하는 일”이라고도 덧붙였다.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불리는 ‘임을 위한 행진곡’이 지난 2009년 이명박 정부 시절 합창 형식으로 바뀐 것을 다시 제창으로 복원한 것도 힘주어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것은 희생자의 명예를 지키고 민주주의의 역사를 기억하겠다는 것”이라며 “오늘의 제창으로 불필요한 논란이 끝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취임 이후 두번째 업무지시로 ‘임을 위한 행진곡’의 제창을 지시한 바 있다.
5.18 유가족 달래기
문 대통령은 기념사 이후 5.18 당시 태어나자마자 아버지를 여읜 김소형 씨의 사연을 듣고 퇴장하는 김 씨의 뒤를 따라가 직접 포옹을 해주며 위로했다. 광주를 찾은 문 대통령의 진의가 드러나는 상징적인 장면이었다. 김 씨는 한참을 문 대통령에 안겨 흐느꼈다.
그러면서 “저 자신도 5·18 때 구속된 일이 있었지만 제가 겪은 고통은 아무것도 아니었다”며 “광주의 진실은 저에게 외면할 수 없는 분노였고, 아픔을 함께 나누지 못했다는 크나큰 부채감이었다. 그 부채감이 민주화운동에 나설 용기를 줬고, 저를 오늘 이 자리에 서기까지 성장시켜준 힘이 됐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어 “5·18은 불의한 국가권력이 국민의 생명과 인권을 유린한 우리 현대사의 비극이지만 이에 맞선 시민들의 항쟁이 민주주의의 이정표를 세웠다”며 광주민주화운동의 뜻을 기렸다.
문 대통령은 “5월의 죽음과 광주의 아픔을 자신의 것으로 삼으며 세상에 알리려 했던 많은 이들의 희생과 헌신도 함께 기리고 싶다”며 “5월의 영령들과 함께 이들의 희생과 헌신을 헛되이 하지 않고 더는 서러운 죽음과 고난이 없는 대한민국으로 나아가겠다”고 다짐했다.
문 대통령은 “광주시민들께도 부탁드린다. 광주정신으로 희생하며 평생을 살아온 전국의 5.18들을 함께 기억해달라”며 “이제 차별과 배제, 총칼의 상흔이 남긴 아픔을 딛고 광주가 먼저 정의로운 국민통합에 앞장서 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