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위기 가시화…이미 예견된 일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부동산업과 종합건설업을 비롯해 운송업, 전자부품제조업, 가구제조업 등 5개 경기 취약업종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중소기업 상황이 침체를 거듭하고 있다”며 “위기가 다시 가시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9월 말 현재 국내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1.55%로 대기업대출 연체율 0.94%의 2배에 달했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작년 말의 1.34%와 비교해 0.21%포인트나 악화했다.
경기 체감 정도를 나타내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도 지난 2010년 6월 98에서 2010년 말 91, 작년 말 79, 올 10월 말 현재 67로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올 상반기 매출액증가율도 4.2%로 작년 상반기의 7.7%보다 3.5%포인트 떨어졌고, 이자보상배율도 2.5배에서 2.4배로 악화했다.
은행권이 자산건전성 확보를 위해 연체율 관리에 나서면서 중소기업들의 현금 확보에도 비상이 걸렸다. 특히 은행권이 위험한 중소법인 대출보다 안전한 담보대출 비중이 많은 개인사업자대출만 크게 늘린 것도 한몫했다. 장복섭 금감원 중소기업지원실장은 “위기가 닥치면 중소기업의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고 돈줄이 막히게 된다”며 “중소법인은 생산 및 고용창출 효과가 큰 만큼 대출 확대를 독려하겠다”고 말했다. 연 매출액 100억원 이하의 영세 중소기업과 1000억원 초과의 중견중소기업 간의 실적 양극화도 심화하는 추세다.
전문가들 “내년 더 어렵다”…구조조정 확대
전문가들은 그러나 “내년이 더 걱정스럽다”며 일시적 금융지원보다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나와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수출 중기와 내수 중기, 특히 정부와 은행 금융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기업들을 세분화해 그에 맞는 대응책을 마련해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서경남 기은경제연구소 중소기업금융팀장은 “정부는 무턱대고 금융지원만 하는 게 아닌 사업구조 전환이나, 경영전략 컨설팅 등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주는 세부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엉켜 있는 실타래를 풀어주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서정호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를 상시 체제로 전환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용어설명
이자보상배율: 기업이 수입에서 얼마를 이자비용으로 쓰는지를 나타내는 수치.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이자보상배율이 1이면 영업활동으로 번 돈으로 이자를 내고 나면 남는 돈이 없다는 의미다. 1보다 크면 영업활동으로 번 돈이 금융비용을 내고도 남는다는 것이고, 1 미만이면 영업활동에서 창출한 이익으로 금융비용조차 낼 수 없어 잠재적 부실기업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