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온호는 지난 1월 폭발한 통가 왕국의 화산 폭발 현장 탐사를 통해 화산체 지형도 확보에 성공했다. 향후 이 자료는 화산 폭발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번 항해에서 아라온호는 남극에서도 지구온난화에 가장 취약한 곳으로 알려진 서남극해 스웨이츠 빙붕 아래의 바다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빙붕은 남극 대륙 위 빙하와 이어져 바다에 떠있는 수백 미터 두께의 얼음덩어리로, 빙하가 바다로 빠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아라온호는 아울러 세계 최대 해양보호구역인 남극 로스해 해양보호구역에서 크릴이나 물고기를 먹는 남극 해양생태계의 상위포식자인 펭귄·물범 등 주요 해양 생물의 생태를 조사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해양생태계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지구온난화로 적신호가 켜진 남극 바다의 탄소 저장 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서남극해에서 해수도 채집했다. 지구를 순환하는 바닷물은 극지방에서 탄소를 머금고 가라앉는데, 극지 바다가 따뜻해지면 순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서남극해의 해수를 통해 탄소 순환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
폭발 전 150m였던 훙가 화산체 중앙부의 수심은 이번 탐사에서 820m로 확인됐다. 화산 폭발로 여의도의 약 2.5배 크기, 깊이 약 700m의 구멍이 패인 것인데, 820m는 지구의 해저화산 화산체 중앙부 수심으로는 가장 깊은 것으로 추정된다. 또 화산 폭발로 붕괴된 지형 가장자리에 수중 드론을 보내 일부 생물들의 모습도 확인했는데, 이는 화산폭발 이후 나타나는 생태계의 복원력을 보여준다.
홍종욱 해수부 해양정책관은 “아라온호는 반년 이상 지구에서 가장 뜨거운 곳(화산)과 차가운 곳(남극)을 누볐다”며 “아라온호가 가지고 온 탐사 성과들이 대한민국의 과학 역량을 드높이는 결실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