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내에서 ‘특수통’으로 분류되는 최 전 지검장은 2007년 12월 이 전 대통령 관련 비리 의혹 수사를 담당하면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최 전 지검장은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 시절 이 전 대통령의 ‘도곡동 땅 실소유주 논란’과 ‘BBK 주가조작 의혹’ 사건을 수사했다. 이 전 대통령은 당선 직후 주가 조작으로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한 BBK 실소유주로 의심받았다. 최 전 지검장은 이 전 대통령 사건을 모두 무혐의 처분한 뒤 승승장구했다.
이 전 대통령이 취임한 직후 2008년 대검 수사기획관으로 자리를 옮긴 최 전 지검장은 이듬해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를 역임했다. 그 후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을 거쳐 최 전 지검장은 2011년 검찰에서 최고 요직으로 꼽히는 대검 중수부장에 올랐다. 서울중앙지검·법무부·대검찰청 고위직은 검찰 내에서 승진 지름길로 여겨진다.
결정적으로 최 전 지검장의 발목을 잡은 건 故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이었다. 2014년 4월16일 세월호 사고 후 유 전 회장 검거에 실패하고 유 전 회장이 변사체로 뒤늦게 발견된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물러났다.
검찰 출신 고위직이 대형 법무법인(로펌)으로 직행하는 관행과 달리 최 전 지검장은 개인 사무소를 열고 활동했다. 대검 중수부장 출신은 대형 로펌과 대기업에서도 최고 대우를 받는다. 그러나 최 전 지검장은 전관예우 규제 시한이 끝난 지난해에도 로펌이 아닌 법무연수원 석좌교수직을 택해 공직 복귀를 노렸다.
공직사회를 노크해온 최 전 지검장의 노력은 결국 2년여 만에 빛을 발했다. 청와대는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으로 악화한 여론을 반전할 카드로 최 전 지검장을 민정수석에 낙점했다.
최 전 지검장 낙점 소식에 야당은 크게 반발했다. 대표적인 정치검사로 꼽히는 최 전 지검장을 민정수석에 낙점한 것은 청와대가 검찰을 통제하겠다는 의지를 노골적으로 피력했다는 것이다.
손금주 국민의당 수석대변인은 “청와대가 우 수석을 대신해 또 다른 정치검사를 후임자로 선정해 검찰을 통제하려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