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는 보통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구강 내에서 가장 늦게 맹출(치아가 기능하는 정상적인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한다. 사랑니는 맹출 공간이 부족하고 최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바르게 자라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사랑니는 증상이 없으면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 비스듬하거나 수평 방향으로 맹출해 인접치의 치아 우식이나 치주염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치관주위염(치아 머리 주변으로 염증이 생기는 것)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치관주위염은 사랑니 주변의 부기와 통증 및 개구 장애(입이 벌어지지 않는 증상)를 유발할 수 있다.
사랑니로 인해 인접치의 손상이 있거나 우려되는 경우, 치관주위염이 발생한 경우, 낭종(물혹)이나 종양이 발생한 경우에는 발치를 해야 한다.
서울대치과병원 원스톱협진센터 서미현 교수(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는 “발치 후 통증은 불가피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의 정도는 보통 발치 당일 가장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라며, “발치 후 마취가 풀리기 전에 처방받은 약을 복용하되, 그래도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담당 치과의사와 상의해 추가적인 진통소염제 복용을 고려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첫 번째는 의식이 있는 상태로 진행되는 ‘의식하 진정 마취’다. 진정 마취는 보통 ▲사랑니의 매복 깊이가 깊을 때 ▲환자가 시술에 대한 공포심이 클 때 ▲난이도가 높고 통증이 예상될 때 시행하게 된다. 진정 마취는 국소 마취보다 시술 시간을 길게 가져갈 수 있기에 한 번에 많은 치료를 원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사랑니를 빼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서미현 교수는 “사랑니는 비정상적인 맹출로 관리가 어렵고, 실제 기능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인접 치아의 관리를 위해 발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라며, “매복된 사랑니 중에서는 낭종이나 양성 종양과 연관된 경우도 있어 예방적인 차원에서 제거를 고려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서 교수는 “사랑니로 인한 증상과 통증이 없다고 해서 문제가 없는 것이 아니므로,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와 상담하거나 주기적인 검진이 꼭 필요하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