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덕여대 식품영양학과 양윤정 교수팀은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보건복지부 주관)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4451명을 조사한 결과 ‘지난 1년간 우리 가족 모두가 원하는 만큼의 충분한 양과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먹을 수 있었다’(식품안정성이 높은 그룹)는 비율이 31.9%(1418명)에 그쳤다고 1일 밝혔다. 이 결과는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양 교수팀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우리 가족 모두가 충분한 양의 음식을 먹을 수 있었으나 다양한 종류의 음식은 먹지 못했다’(식품안정성이 가볍게 낮은 그룹)는 노인이 절반을 약간 넘었다(2396명, 53.8%). ‘지난 1년간 경제적으로 어려워 가끔 먹을 것이 부족했다’(식품안정성이 상당히 낮은 그룹) 노인은 488명(11%), ‘지난 1년간 경제적으로 어려워 자주 먹을 것이 부족했다’(식품안정성이 심하게 낮은 그룹)는 노인은 149명(3.3%)으로 조사됐다. 어려운 살림 탓에 식품안정성이 상당히 또는 심하게 낮은 노인이 전체 노인의 14.3%에 달한 것이다.
UN국제식량농업기구(FAO)는 식품안정성을 “사람이 활기차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충분하고 안전하며 영양가 있는 식품을 늘 확보하고 있는 상태’라고 규정했다. 따라서 경제적 이유 등으로 식품의 구입 자체가 힘들다면 식품안정성이 낮은 셈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안정성이 낮을수록 식품 섭취량을 줄이거나 설탕ㆍ지방이 함유된, 즉 에너지 밀도가 높은 식품을 많이 찾는 경향을 보인다. 과일ㆍ채소ㆍ유제품 등 건강에 이로운 식품의 섭취량은 감소한다. 식품안정성이 낮으면 또 비만ㆍ당뇨병ㆍ고혈압ㆍ고지혈증 등 만성질환 위험이 높아질 뿐 아니라 우울증ㆍ자살 충동 등 정신건강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이번 연구에선 상대적으로 고령ㆍ여성ㆍ저소득ㆍ독거ㆍ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노인의 식품안정성이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노인의 식품안정성이 낮을수록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고 우울증상을 자주 경험하며 자살을 고려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식품안정성이 낮은 독거노인의 자살 고려 비율은 55.1%에 달했다. 이는 가족과 함께 살면서 식품안정성이 높은 노인의 자살 고려 비율(17.6%)에 비해 3배나 높은 결과다. 식품안정성이 높은 독거노인의 자살 고려 비율은 21.8%였다.
이번 연구에선 노인의 영양 섭취 상태가 전반적으로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품안정성이 높은 노인마저도 칼슘(뼈 건강 좌우)ㆍ칼륨(혈압 조절)ㆍ비타민 B2(에너지 생성)의 평균 섭취량이 권장량의 각각 68.3%ㆍ77.5%ㆍ68.4%에 불과했다. 식품안정성이 낮을수록 콩류ㆍ채소ㆍ버섯ㆍ과일ㆍ유지류ㆍ육류ㆍ계란ㆍ어패류ㆍ우유ㆍ유제품의 섭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품안정성이 낮은 노인이 가장 우선 줄이는 식품은 과일과 어패류였다.
▶ 관련기사 ◀
☞ 보험 적용이후 노인 임플란트 급증.. 정기검진 필요!
☞ 노인들의 뜨거운 ‘커피 사랑’ ...3명 중 2명 하루 1잔이상 마셔
☞ 한경연 "노인가구 비율 증가할수록 소득불균형 심화"
☞ ‘고령화 사회의 그늘’ 노인 진료비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