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금융감독당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자영업자 대출 규모는 520조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자영업자의 사업자대출과 가계대출은 물론 사업자대출을 받지 못한 자영업자의 가계대출까지 포함된 수치다. 금융권에서는 자영업대출 규모를 보수적으로 추산한 결과로 해석한다.
이런 기준으로도 1년 전과 비교하면 60조원(12%) 확대됐다. 가계대출 증가속도(11%)를 넘어선 수준이다. 앞으로 가계부채보다 자영업 빚이 더 빠르게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한국은행이 집계한 작년 말 수치(약 480조원) 보다 40조원 많고, 2012년 말 318조원(한국은행 집계기준) 수준이었는데 불과 4년 만에 200조원 넘게 급증했다.
자영업자 대출의 급증은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직장을 구하지 못한 젊은이들과 은퇴한 ‘베이비부머’가 대거 식당이나 숙박업소 같은 자영업에 대거 유입됐기 때문이다.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해 돈 구하기가 쉬워지자 대출을 통해 창업전선에 뛰어든 것이다.
당장 겉으로 봐서는 자영업자의 빚이 당장 부실화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자영업자 대출의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은 지난해 말 현재 0.3%에 불과하다.
하지만 미국의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국내 시중금리도 오를 가능성이 한층 커진 터다. 여기에 경기가 악화한다면 자영업자 대출은 언제든지 우리 경제를 짓누를 시한폭탄이 될 수 있다.
대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 임대사업자 대출도 소득창출 능력이 떨어지는 은퇴 세대에 집중돼 부동산 경기가 꺾인다면 상환능력이 급전직하할 가능성도 있다.
금융당국도 대책 마련에 부심 중이다. 금융감독원은 우선 대출증가세가 가파른 농·수·신협 단위조합과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의 자영업자 대출 실태를 점검할 계획이다. 정부도 통화, 재정, 고용 등 여러 정책 조합을 아우르는 8월 발표할 가계부채 대책에 자영업자 부분까지 포함해 담을 계획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관련부처가 심도깊게 대책을 논의할 것”이라면서 “정확한 대출 규모나 관련 대책은 8월에 공개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