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자동차 시트는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영하 40도·영상 80도 등 가혹한 환경에서 180개가 넘는 시험을 통해 최고 품질의 시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지난 5일 찾은 현대트랜시스 동탄 시트연구센터 시험동에서는 각각의 시험실에서 시트 테스트가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었다. 한쪽에서는 로봇이 시트 레버를 당겨서 앞으로 접은 뒤 다시 위로 펼치기를 반복하고 있었다. 다른 쪽에서는 시트가 바닥의 흔들림을 그대로 느끼며 진동하고 있었다.
| 현대트랜시스 동탄 시트연구센터에서 연구원들이 시트 충돌시험인 슬레드(SLED)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사진=현대트랜시스) |
|
50만회·혹한·혹서 테스트 거쳐 품질 개선현대트랜시스 시트연구센터는 연면적 2만7031제곱미터(㎡)로 국내 최대 규모의 자동차 시트 전문 연구소다. 2007년 70여명의 연구·개발 인력으로 시작해 현재 약 500명이 근무하고 있다. 현대트랜시스 관계자는 “시트 부품에서 완제품까지 개발 과정이 한 곳에서 진행된다”며 “기술 개발·설계·시험검증 등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연구센터에서 시트 내구 시험, 복합 환경 진동 시험, 충돌 시험 등 시트의 안전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테스트 현장을 둘러봤다. 진동내구시험실에서는 고르지 않은 노면에서 차량 바닥이 진동하는 상황을 재현해 시트 패드 꺼짐이나 구조물 변형·파손 여부를 평가한다. 최태진 현대트랜시스 시트시험팀 책임연구원은 “10년 보증을 위해 50만회 정도 내구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 현대트랜시스 동탄 시트연구센터에서 복합환경진동(BSR)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사진=현대트랜시스) |
|
복합환경진동 시험실에서는 덥거나 추운 주행 환경에서도 시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가혹한 환경에서 테스트가 진행됐다. 영하 40도에서 영상 80도까지 구현한 혹한·혹서 실험실에서 시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과 노이즈를 분석하고 소음 원인을 파악해 개선하는 과정을 거친다는 설명이다.
이날 약 영하 20도로 설정돼 있는 시험실에 들어서자마자 입김이 나오고 추위에 몸이 떨렸다. 최 연구원은 “저온 조건에서 열선 히트가 얼마나 빨리 작동해 온도를 올려주는지, 더울 땐 통풍 시트가 얼마나 빠르게 온도를 내려주는지 등 시험을 병행한다”고 말했다.
| 현대트랜시스 동탄 시트연구센터에서 슬레드(SLED)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사진=현대트랜시스) |
|
차량이 충돌했을 때 시트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슬레드(SLED) 시험도 볼 수 있었다. 이날 시험실에서는 차량 충돌시험에 쓰이는 인체모형(더미)을 시트에 앉힌 뒤 시속 약 80㎞로 달리는 차량이 충돌했을 때의 상황을 재현하는 테스트가 진행됐다. 연구원이 작동 버튼을 누르자 시트에 시속 약 41㎞로 충돌이 가해지면서 시트와 더미가 순식간에 뒤로 넘어갔다가 돌아왔다. 이처럼 시트에 가해지는 충격과 인체에 미치는 상해를 분석해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설계에 활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PBV·UAM 등 미래 모빌리티 선도하는 시트 기술 연구지난 4월 새단장한 홍보관에서는 현대트랜시스의 대표 시트 기술뿐 아니라 목적기반차량(PBV)·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모빌리티 시대 선행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 현대트랜시스의 차세대 기술을 체험해볼 수 있었다.
| 현대트랜시스의 차세대 모빌리티 비전을 담은 HTVM.(사진=현대트랜시스) |
|
홍보관 대부분에는 자율주행, PBV, UAM 등 차세대 모빌리티 비전을 담은 콘셉트 모델들이 자리해 있었다. 먼저 전시돼 있는 기아 PV5 컨셉트 모델 차량 내부에는 현대트랜시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플립 기능’이 적용된 시트가 장착돼 있었다. 시트 등받이와 쿠션을 직각으로 세웠다가 앞뒤로 전환해 시트 이동 없이 방향을 바꿀 수 있게 해 공간 활용성을 높였다는 설명이다.
이처럼 PBV 시장에서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 용도에 따라 시트의 위치와 기능 등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는 시트 기술을 강화해나간다는 방침이다. ‘현대트랜시스 오토모빌리티 모듈러 시스템’(TAM)이라는 자체 브랜드도 네이밍해 소비자들에게 이같은 디자인을 더 홍보할 계획이다.
| 현대트랜시스 도심항공교통(UAM) 캐빈 콘셉트.(사진=현대트랜시스) |
|
UAM 디자인 솔루션을 적용한 콘셉트 모델도 경험할 수 있었다. 협소한 공간 특성에 맞춰 공간을 최적화하기 위해 플립 시트를 적용했다. 기존 시트의 폼패드 부분을 메쉬 소재로 대체 적용하는 등 시트 무게를 경량화하기 위한 기술도 적용됐다. 이날 UAM 모형에 앉아 가상현실(VR) 기기를 착용하자 뉴욕의 500m 상공에서 UAM을 타는 듯한 그래픽이 재생됐다.
현대트랜시스는 UAM뿐 아니라 자율주행차, PBV에 이르기까지 ‘움직이는 생활공간’으로서 모든 분야에서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선행기술 연구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여수동 현대트랜시스 대표는 “자동차가 작은 집이 될 만큼 자동차에서의 생활 공간, 이동성, 활용성이 중요해지는 시대”라며 “시트의 중요성도 커지는 만큼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꾸준히 변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