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따르면 응답 기업 중 14.7%가 글로벌 수요기업으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요구받은 적 없다고 답한 기업은 85.3%였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이 28.8%, 중견기업이 9.5%다.
글로벌 수요기업으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받은 시점은 ‘2030년 이후’가 38.1%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2025년까지’는 33.3%, ‘2026~2030년’은 9.5%로 시급한 대응이 필요한 경우도 있었다.
RE100은 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로 전환하자는 자발적 캠페인이다. 애플을 비롯해 구글, BMW 등 전 세계 379개 기업이 가입해 있으며 국내에서는 22개 기업이 가입을 마쳤다.
민간 주도인만큼 RE100 캠페인 자체가 구속력을 갖지는 않지만, 글로벌 기업들이 공급망 내 협력사들에게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하면서 관련 국내 기업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노력이 시작되는 분위기다.
국내 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실제 해외기업으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청받더라도 이를 공식적으로 밝히기 꺼려하는 기업들도 상당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는 RE100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으면 수출 경쟁력에 큰 차질이 있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기업들이 RE100에 참여하는 데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은 요소는 비용 부담(35.0%)이다. 이어 관련 제도 및 인프라 미흡(23.7%), 정보 부족(23.1%), 전문인력 부족(17.4%) 순이다.
한 중견업체 관계자는 “RE100을 이행하려면 직접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짓거나, 녹색프리미엄제도를 통해 웃돈을 주고 재생에너지 전력을 구매하거나,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해야 하는데 한국에서는 이 세 가지 조달 방식에 드는 비용이 각각 유럽의 1.5~2배 수준”이라며 “특히 녹색프리미엄, REC 구매 등은 수십년 동안 일회성으로 구매해야하는데 중소·중견기업에게는 큰 부담”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들이 RE100 참여를 위해 희망하는 정책과제로는 ‘경제적 인센티브 확대’(25.1%)가 가장 많았다. 이어 ‘재생에너지 구매를 온실가스 감축실적으로 인정’(23.2%), ‘재생에너지 전력인프라 확대’(19.8%), ‘정보 및 재생에너지 사업자 매칭 컨설팅 지원’(16.5%) 등이다.
이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한상의는 △PPA 주민참여형 사업에 인센티브 제공 △녹색요금제 구매시 부가비용 면제 △공공주도 재생에너지 대형사업에 민간기업 참여 확대 △ PPA 부가비용 최소화 등 6개 정책 지원과제를 제안했다.
김녹영 대한상의 탄소중립센터장은 “해외 수요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국내기업의 중소·중견기업 협력사까지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로 이어질 수 있다”며 “현재 RE100에 참여하고 있는 국내 기업의 협력사가 1만 개 이상으로 파악되는 만큼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중견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 증가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