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文대통령, 현충일 추념사 “희생과 헌신에 국가는 반드시 보답”

"국가유공자와 유가족 삶 뒷받침에 최선 다했다"
"앞으로도 명예로운 삶 지원 한층 강화할 것"
  • 등록 2020-06-06 오전 10:46:47

    수정 2020-06-06 오전 10:46:47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6일 오전 대전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제65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 추도 묵념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영환 김정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제65회 현충일을 맞아 “모든 희생과 헌신에 국가는 반드시 보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대전 국립현충원에서 열린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해 “우리 정부는 지난 3년 동안 국가유공자와 유가족들의 삶을 뒷받침하고 기억과 계승을 위한 보훈에 최선을 다해왔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도 ‘생활조정 수당’과 ‘참전명예 수당’을 지속적으로 인상해 국가유공자와 유가족들의 명예로운 삶을 지원하고, 의료지원도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문 대통령의 제 65회 현충일 추념사 전문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국가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

6·25전쟁 70주년인 올해,

예순다섯 번째 현충일을 맞았습니다.

독립과 호국이

나라를 세우고 지켜낸 애국의 뿌리임을 되새기는 날입니다.

오늘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와 번영은

가장 빛나는 시기 자신의 모든 것을 조국에 바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헌신과 희생 위에 서 있습니다.

이곳에 잠들어 계신 한분 한분 모두가

대한민국의 오늘을 만들어낸 분들입니다.

애국 영령과 국가유공자들께 존경을 표하며,

유가족께 깊은 위로와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국민 여러분,

국립 대전현충원의 현판을

안중근 의사의 글씨체로 교체하게 되어 매우 뜻깊습니다.

안중근 의사가 마지막으로 남긴 글씨는

‘위국헌신 군인본분’이었습니다.

광복군을 거쳐 지금의 우리 군까지 이어지고 있는

군인정신의 사표입니다.

올해 안중근 의사 순국 110주년을 맞아

대한의 자유독립과 동양평화를 위해 당당히 죽음을 맞이한

안중근 의사의 숭고한 뜻이

모든 애국 영령들과 함께할 것이라 믿습니다.

내일은 봉오동전투 전승 100주년 기념일입니다.

100년 전인 1920년 6월 7일,

홍범도·최진동 장군이 이끈 독립군 연합부대가

봉오동에서 ‘독립전쟁 첫 번째 대승리’를 거뒀고,

10월에는 김좌진·홍범도 장군이 주축이 된 연합부대가

‘청산리대첩’이라는

독립전쟁 사상 최고의 승리를 이뤘습니다.

194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창설한 광복군의 뿌리가 독립군이었고,

2018년 국방부는

독립군과 광복군을 국군의 기원으로 공식 확인했습니다.

해방 후 많은 독립군, 광복군이 국군이 되었습니다.

독립정신을 호국정신으로 계승하여 6·25전쟁에 참전했습니다.

광복군 참모장 김홍일 장군은 ‘한강 방어선 전투’를 지휘했습니다.

장병들과 함께 혼신의 힘을 다해 북한군의 남하를 막아냈고,

반격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습니다.

광복군 유격대장 장철부 중령은

기병대 대장으로 활약했습니다.

많은 전투에서 전공을 세운 후,

1950년 8월 4일, 대대 지휘소가 점령되기 직전

포로로 잡히지 않기 위해

스스로 스물아홉의 생을 마감했고,

이곳 대전현충원에 잠들어 계십니다.

목숨을 바쳐 용맹하게 싸운 장병들뿐만 아니라,

부상병을 헌신적으로 돌본

보이지 않는 영웅들도 있습니다.

독립운동가 이상설 선생의 외손녀 이현원 중위는

국군간호사관학교 1기생으로 1953년 3월 임관해 참전했고,

간호장교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던 시절,

헌신적으로 장병들을 돌보셨습니다.

이현원 님은 오랜 시간 자신의 공훈을 알리지 않으셨습니다.

2017년 9월, 러시아 동포 간담회에서 뵙고,

오늘 국민의 마음을 담아

국가유공자 증서를 드리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이 자리에 함께하신 이현원 님께 따뜻한 박수를 부탁드립니다.

독립군의 딸, 故오금손 대위는

6·25전쟁 때 ‘백골부대’ 간호장교로 복무했고,

전역 후 오지의 환자들과 가난한 독립운동가들을 돌봤습니다.

이곳에 잠들어 계신 故김필달 대령 역시

1950년 11월 간호장교로 임관해 6·25전쟁과 베트남전에 참전했고,

간호병과장을 역임했습니다.

‘위국헌신 군인본분’을 실천한 간호장교들이 있어

가장 위태롭고 절박한 순간에도

병사들은 삶의 희망을 가질 수 있었으며,

이 역사는 70년이 지난 오늘, 후배들에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2020년 3월 3일,

국군간호사관학교 60기 졸업생 일흔다섯 명이 임관과 동시에

코로나와 힘겨운 싸움을 펼치던 대구로 향했습니다.

오늘 ‘경례문’을 낭독한 이혜민 소위는 그날 임관식에서

“6·25 참전용사인 할아버지를 본받아,

국민과 군을 위해 목숨 바칠 각오로 임무를 완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일흔다섯 명의 신임 간호장교들은 모두

맡은 임무를 당당히 완수하며,

국민들에게 커다란 용기와 자부심을 주었습니다.

우리 군은 국민의 곁에서 헌신적으로 코로나와 맞섰습니다.

20만 명이 넘는 장병들이

물자 운송지원, 방역과 소독, 공항·항만 검역 등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땀 흘렸습니다.

헌혈에 가장 먼저 팔을 걷어붙인 것도 군 장병들입니다.

철통같은 안보태세 속에 방역에도 임무를 다한 우리 군을

애국선열들과 호국영령들도 자랑스러워하실 것이라 믿습니다.

저 역시 국군통수권자로서 국민과 함께한 우리 장병들이

참으로 든든하고 자랑스럽습니다.

국민 여러분,

故임춘수 소령은

1951년 7월 강원도 양구 전투에서 전사했습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가슴 깊이

딸의 돌사진과 부치지 못한 편지를 품고 있었습니다.

오늘 따님 임욱자 님이

70년 만에 아버지에게 보내는 답장을 낭독해주셨습니다.

임춘수 소령의 편지 한 통은

가족에 대한 사랑이 조국을 지키는 힘이라는 것을 전해주고,

따님의 답장은

호국 영웅이 “가족을 많이 사랑한 평범한 아버지”였음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 편지들은

6·25전쟁이 과거의 역사가 아니라,

오늘 우리의 삶에 닿아 있는,

살아 있는 역사임을 증명합니다.

국가의 공식기록 못지않은 무게로

애국과 호국의 역사가

한 개인과 한 가족의 역사임을 증언하고 있습니다.

이제 나와 내 가족, 내 이웃이 지켜낸 대한민국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내 조국’, ‘우리 모두의 나라’가 되었습니다.

평화는 국민이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이며,

두 번 다시 전쟁이 없는 평화의 한반도를 만드는 것은

국민이 부여한 국가의 책무입니다.

정부는 평화를 지키고 만들기 위해

더욱 강한 국방, 더욱 튼튼한 안보에 전력을 다할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오늘을 만든 분들을 영원히 기억하고

역사에 새길 것입니다.

저는 또한 오늘 현충일을 맞아,

코로나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다 순직하신

신창섭 주무관과 피재호 사무관을

여러분과 함께 기억하고자 합니다.

고인들의 안식을 기원하며,

유가족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6·25 무공훈장 찾아주기 조사단’을 출범시켰습니다.

6·25전쟁 당시 훈장 수여가 결정됐지만,

훈장과 증서를 받지 못한

5만6천여 명의 유공자와 유가족을 찾아

무공훈장과 국가유공자 증서를 전해드리는 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모두 5천여 명의 유공자를 찾았고,

생존 유공자들께 훈장을 전달해드렸습니다.

당시 화랑무공훈장을 받았지만, 증서를 받지 못한

예비역 병장 김종효 님께

오늘 국가유공자 증서를 수여하게 되어 매우 뜻깊습니다.

참전용사 한 분이라도 더 생존해 계실 때

훈장과 증서를 전달해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김영창 님은

미 극동사령부 비군인 특수부대 소속으로 참전하여 복무기록이 없었지만, 공적을 찾아내어 오늘 국가유공자 증서를 드렸습니다.

이름도, 계급도 남기지 못한

3만2천여 유격군들의 공적도 함께 발굴하고 기리겠습니다.

유해발굴 사업도 계속해나갈 것입니다.

지난해 비무장지대 화살머리고지에서 찾은 6·25전쟁 전사자

故박재권, 故남궁선, 故김기봉 이등중사를

이곳 대전현충원에 모셨고,

故정영진 하사의 아드님께 화랑무공훈장을 전달했습니다.

신혼에 헤어져 혼자 아들을 키워온 이분애 님은

오랜 기다림 끝에

아흔 나이에 故김진구 하사의 유해와 상봉했습니다.

사흘전 6월 3일, 대구 앞산 충혼탑에서 귀환행사가 열렸습니다.

가족들의 유전자 검사 협조가 있었기에

우리는 영웅들을 다시 만날 수 있었습니다.

故김진구 하사의 형님은

2006년, 반드시 유해를 찾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유전자 검사를 해주셨습니다.

정부는 올해에도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예순일곱 구로 추정되는 유해를 추가 발굴했습니다.

발굴한 호국용사의 신원확인에는

유가족들의 유전자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유가족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드립니다.

정부도 호국용사들을 가족의 품으로 모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국가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

모든 희생과 헌신에

국가는 반드시 보답해야 합니다.

우리 정부는 지난 3년 동안

국가유공자와 유가족들의 삶을 뒷받침하고,

기억과 계승을 위한 보훈에 최선을 다해왔습니다.

앞으로도 ‘생활조정 수당’과 ‘참전명예 수당’을 지속적으로 인상해

국가유공자와 유가족들의 명예로운 삶을 지원하고,

의료지원도 한층 강화하겠습니다.

현재 국립 대전현충원에

4만9천 기 규모의 봉안당을 건립하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전국 35만 기의 안장 능력을 44만 기까지 확충하고,

2025년에는 54만 기 규모로 늘려

예우를 다해 국가유공자를 모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6월 2일 ‘군인재해보상법 시행령’이 국무회의를 통과했습니다.

군 장병의 헌신과 희생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뜻깊습니다.

병사들의 일반장애 보상금을 대폭 인상하고,

교전으로 인한 장애는

일반장애 보상금의 2.5배를 지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족연금 지급률도 근무 기간에 관계없이 일원화했고,

유가족 가산제도를 신설해

가족이 많은 경우 더 많은 연금을 받도록 했습니다.

국가유공자와 유가족들에 대한 보훈은

정부의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 중 하나입니다.

보훈이야말로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일 뿐 아니라

국가를 위해 생명까지 바칠 수 있는

애국심의 원천이기 때문입니다.

독립과 호국이

오늘 우리가 누리는 대한민국의 뿌리입니다.

나라를 지켜낸 긍지가 민주주의로 부활했고,

가족과 이웃을 위해 희생한 수많은 의인을 낳았습니다.

독립·호국·민주 영령들은 각자 시대가 요구하는 애국을 실천했고,

새로운 시대정신과 역동적인 역사의 물결을 만들어냈습니다.

우리의 애국은 오늘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더욱 강해지고 있습니다.

서로 양보하고 타협하며 상생 협력의 길을 넓히고 있습니다.

누군가의 아들과 딸이었으며,

아버지였고 어머니였던 평범한 이웃들이

우리의 오늘을 만든 애국 영령들입니다.

독립·호국·민주의 역사를 일궈온

우리 국민의 저력을 가슴 깊이 새기며,

애국 영령들께 다시 한번 깊은 존경을 표합니다.

감사합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청룡 여신들
  • 긴밀하게
  • "으아악!"
  • 이즈나, 혼신의 무대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