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을 저점으로 장기 균형수준으로 점차 회복해 갈 것이라고 설명했으나, 내년 이후에도 2%대 중반 이상의 뚜렷한 성장 회복기조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한 셈이다.
실제 예정처는 올해 경제성장률을 1.1%로 전망했다. 이는 한국은행(1.4%), 기획재정부(1.4%), 한국개발연구원(1.5%)보다 0.3%포인트(p) 이상 낮은 부정적인 전망이다. 또 내년 성장률 전망도 2.0%로 한국은행(2.2%), 기재부(2.4%), KDI(2.3%)보다 최소 0.2%p 이상 낮게 잡았다.
아울러 저출산·고령화로 생산연령인구가 감소에 따른 노동 공급 여력이 약화되고 탄소중립 전환에 따른 철강·석유화학·반도체 등 우리 주력 산업의 수출경쟁력 약화 등도 함께 짚었다. 고금리·고물가 장기화로 가계의 소득여건이 약화되면서 내수의 회복세가 둔화할 위험도 언급했다.
예정처는 재정지출의 적시성 제고, 경기둔화에 대응하고 지속성장 동력을 확충하기 위한 통화-재정 정책조합 고려 등을 제안했다.
이어 “경기둔화에 대응하고 지속성장 동력을 확충하기 위한 통화·재정 정책조합 고려해야 한다”며 “인플레이션을 물가목표수준에 안착시키면서도 민간수요의 회복을 지원할 수 있는 최적의 통화·재정 정책조합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경기수축기(확장기)에 재정확장(긴축)이 이루어지리라는 민간부문의 기대 형성 여부에 따라 정책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며 “중기 재정목표와 재정기조를 명시한 국가재정운용계획을 통해 민간부문의 신뢰 구축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