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국면에서 밀려드는 글로벌 자산 유입 덕에 활황세를 보였던 중국 자산시장이 위축되고 있다. 미국 국채금리 상승과 달러화 강세, 금융 리스크 대응을 위한 자국 내 규제 등으로 인해 중국 위안화표시 자산의 매력이 뚝 떨어지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벤치마크 지수인 CSI300지수는 지난 2월 초까지만 해도 13년 만에 최고치까지 치솟았지만, 이후 두 달여만에 13% 가까이 하락하고 있다. 늘어나 매물로 인해 이 기간 중 시가총액만 1조3000억달러 이상 급감했다.
위안화 가치도 최근 달러대비 약세로 돌아섰다. 올 들어 달러대비 위안화 가치를 전년 말에 비해 하락하고 있고, 특히 지난 3월 위안화는 최근 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중국 국채 역시 2년여 만에 처음으로 월간 순매도를 기록한 외국인 투자자로 인해 약세를 면치 못했다.
|
그러나 빠른 경기 회복은 인플레이션과 자산가치 상승이라는 우려를 낳았고, 중국 인민은행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타이트한 통화정책으로 돌아서자 위안화표시 자산의 매력이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향후 달러값이 더 오를 경우 위안화 가치 하락, 중국 주식과 채권에서의 외국인 자금 이탈 등이 이어질 수 있다. 애드리언 주어처 UBS 칩인베스트먼트 오피스 글로벌 자산배분 대표는 “중국 자산시장의 강한 흐름이 시험받고 있다”면서 “단기적으로 중국 자산가격의 변동성은 높은 수준에 머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세계 2위 규모인 중국 주식시장 시가총액은 2월 고점대비 8380억달러나 줄었고 하루 평균 거래대금도 6700억위안으로, 지난해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다. 증시 내 에너지가 그 만큼 소진된 것으로 풀이된다.
주어처 대표는 “계속 윗쪽으로 올라가고 있는 미 국채금리는 단기적으로 중국 주식시장 변동성을 좌우하는 변수가 될 것”이라며 “미 금리가 더 오른다면 중국 내 성장주의 밸류에이션이 악영향을 미칠 것이고, 이는 증시 내 순환매를 촉발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3월 중국 생산자물가지수가 전년동월대비 4.4%나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고 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인민은행은 시중 유동성을 다소 죄면서 기업들의 대출 여건도 타이트하게 가져가고 있다.
한펑 왕 차이나 인터내셔널캐피탈 스트래티지스트는 “중국의 통화정책이 타이트하다고 본다”면서 “투자자들은 앞으로 중국 당국에서 나오는 추가적인 정책 시그널에 예의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런 점에서 위안화 가치가 얼마나 더 약해질 것인지 주목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조우 하오 코메르츠방크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6.56위안 수준인 달러대비 위안화 환율이 올 연말 6.83위안으로 올라갈 수 있다(=위안화 평가절하)고 보고 있다. 그는 “미국 달러에 대한 전망이 얼마나 빠르게 변하는 지가 중요하다”며 “미국 경제가 앞으로 2년 간 더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는 믿음이 강한 만큼 이는 주식과 채권, 외환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