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단순히 재무성과가 좋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보다 ESG(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 등급이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수익률이 더 높다는 건 실증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사회책임투자(SRI)는 이머징마켓(EM) 증시에서 더 높은 수익률을 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국내에선 ESG 점수가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는 명제는 증명되지 않고 있다.
MSCI EM ESG지수, 모지수보다 3년간 수익률 12%p 높아
투자컨설팅기관인 캠브리지어소시에이츠가 작년 10월 낸 보고서에 따르면 ESG요소를 고려한 주식 투자는 이머징마켓에서 더 효과적이다. 2013년 6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 EM ESG지수는 MSCI EM지수보다 12%포인트 높은 누적 수익률을 기록했다. 실제 MSCI EM ESG리더스(Leaders)지수는 5년 수익률이 4.95%로 MSCI EM지수(1.68%)보다 훨씬 높다. 전세계를 아우르는 MSCI ACWI ESG리더스지수는 5년 수익률이 7.83%로 모지수(ACWI지수) 7.37%와 큰 차이가 없는 것과 비교된다.
이머징마켓에서 ESG요소를 고려한 주식 투자가 수익률 측면에서 더 효과적인 것은 지배구조가 취약한 국유기업 때문이다. ESG지수는 국유기업 비중이 낮은데 이들의 주가 상승률이 저조했다. MSCI EM지수의 28%는 에너지, 금융, 소재, 통신 등과 관련된 국유기업이 차지하는데 이들은 ESG점수가 낮아 ESG지수에 편입되지 않거나 그 비중이 적다. EM지수내 시가총액 상위 40개 중 13개가 국유기업인데 EM ESG지수에는 이들 중 2개 기업만 편입됐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3년간 국유기업의 주가 상승률은 낮았다. 주가가 덜 오른 국유기업이 MSCI EM ESG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모지수보다 적다보니 ESG지수가 더 수익률이 좋았단 분석이다.
다만 분석기간이었던 2013년부터 2016년까지는 전세계적으로 경기 회복세가 더뎌 국유기업이 대부분인 에너지, 금융 등 경기민감주의 주가 상승이 크지 않았단 점 등도 고려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
ESG리더스150지수, 코스피보다 못해
어쨌든 이머징마켓에서 ESG점수를 고려한 주식 투자가 수익률에서 더 높은 성과를 냈단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선 이같은 실증 분석은 제한적이다. 2015년말 한국거래소와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만든 KRX ESG리더스150지수는 최근 1년 수익률이 13.82%로 코스피(18.37%)보다 낮다. 시계열을 넓혀 2012년 이후로 살펴봐도 ESG리더스150지수는 18.43%의 수익률을 보인 반면 코스피는 이보다 두 배 가량 높은 30.65%를 기록했다.
‘KRX ESG리더스지수’가 시가총액 비중에 ESG요소를 가미했다고 한다면 와이즈 ESG지수 시리즈는 재무성과에 ESG요소를 반영했단 점에서 차이가 난다. 다만 ESG요소를 고려한 주식 투자가 성과가 좋다고 증명하기엔 양 지수 모두 역사가 짧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주식형펀드 437개(8월 1일 기준)를 대상으로 ESG등급을 매기고 등급에 따른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1년 전 1등급을 받은 펀드 수익률이 10~25%로 5등급 펀드 수익률(-20~+15%)보다 더 좋은 성과를 냈다. 그러나 ESG등급 상위 종목이 주로 대기업인데 이 기간 동안 대형주가 높은 주가 상승률을 보였단 점에서 ESG요인이 펀드 수익률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 구분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용어설명
ESG등급=한국기업지배구조원, 서스틴베스트 등 의결권자문기관에서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연 1~2회 ESG등급을 평가한다. ESG등급은 환경(Environment), 사회책임(Social Responsibility), 지배구조(Governance) 등 3대 요인에 대해 신용등급처럼 S등급부터 D등급까지 등급을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