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오염수 방류 결정을 하루 앞둔 지난 21일, 대전 한국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에서 만난 한병섭 한국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 이사 겸 원자력안전연구소장은 방류가 추진되면서 다핵종제거설비(ALPS)가 제대로 이뤄지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나, 근원적인 대책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테면 일본정부와 공조해 사고 직후부터 현재까지 후쿠시마 원전 일대의 동토차수벽(얼음벽)에서 오염수가 새는 부분에 대한 정확한 평가 같은 게 필요하다는 것이다.
|
원자력공학을 전공한 한 소장은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전력기술에서 근무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시민 단체 등에게 과학적인 원자력 안전 관련 조언을 해주는 역할을 해왔다. 그는 지난 2015년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승인받은 산업기술연구조합인 한국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한 소장은 IAEA의 관리감독 하에 일본 정부가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하면서 오염수 정화를 해나간다면 일본정부 주장처럼 오염수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그는 오염수 처리만으론 국민 불안감 해소나 근원적 문제 해결로 이어지기는 어렵다고 했다.
지난 2011년 사고가 난 후쿠시마 원전을 거친 지하수가 바다로 유입되면서 매일 4백 톤가량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고, 일본 정부가 오염수 확산을 막기 위해 2016년부터 원전 주변 1.5㎞ 범위에 영하 30도의 냉각재가 들어가는 약 30m 길이의 파이프를 1m 간격으로 설치해 땅을 얼려 지하수가 원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했지만, 해안가에 있는 후쿠시마원전의 입지와 차수벽에 대한 공학적 설계를 고려하면 지하수 유입과 바다로의 유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일본 내에서도 동토차수벽이 효과가 별로 없다는 지적이 일부 제기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한 소장은 “오염수 정화, 처리도 중요하지만, 발전소 내에서 새는 부분의 양이 100~1000배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10여 년 전 사고가 발생했을 때 나온 오염수의 양이나 지금도 새는 양에 대한 평가 없이 앞으로 내보낼 양만 적다고 하는 것은 근원적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힘줘 말했다.
그러면서, 원자력 기술에 대한 발전 역사를 고려하면 임상검증에는 한계가 있고, 과학기술의 확실성도 장담하기 어려워 수산물 수입 감독 같은 안전 요소는 꾸준히 챙기고 점검해야 한다고 했다.
한 소장은 “인류가 방사능 영향에 따라 어떤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 지 등에 대한 임상학적 증거가 부족하고, 불확실성이나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과학적 접근을 통해 안전성을 계속 검증해야 한다”면서 “30년 뒤, 60년 뒤까지 오염수를 방류하더라도 그때 생긴 것들은 또 버릴 수밖에 없어 근원적인 원인도 함께 따져보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병섭 소장은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학사 △KAIST 핵화학 석박사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사후연구원 △한국전력기술 연구원 △현 한국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 이사 △현 원자력안전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