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활사업은 저소득층의 목돈마련을 지원하는 희망키움 통장사업과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하는 자활근로 사업으로 나뉜다.
희망키움 통장 가입자는 3년간 매월 꾸준히 저축할 경우 정부로부터 정부지원금을 지원받아 만기에 목돈을 마련해 전세금이나 교육비 등 자립에 필요한 자금으로 쓸 수 있다. 자활근로 사업에 참여하면 일하면서 기술과 노하우를 익힐 수 있고 자활근로로 생기는 소득은 근로소득장려세제 적용을 받을 수 있다. 맞벌이 가구의 경우 연 최대 210만원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수기의 기초생활수급자는 자활사업에 참여해 성공적인 자립을 이뤄냈다. 그 주인공은 올해 자활명장으로 선정되어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게 된 자활기업 ‘행복하계’의 상임이사인 이순옥씨다. 이 씨는 음료수 공장을 그만둔 후 광역자활센터를 통해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 계층 등이 운영하던 닭고기 가공 사업장인 ‘행복하계’를 소개받아 해당 사업장에서 5년간 꾸준히 일했다. 처지가 비슷한 사람들이 함께 모여 일하는 곳이라 서로 의지할 수 있었고, 직원을 채용하거나 작업환경을 구축하는 등 사업을 운영하는데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사업이 안정적으로 확대될 수 있었다.
이 씨는 또 ‘희망키움통장’도 가입해 매월 10만원씩 꾸준히 저축했고, 정부에서도 그녀의 소득에 맞추어 매달 45만원을 정부지원금으로 보탰다. 그 결과 2015년 기초생활수급자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동시에 희망키움통장을 통해 2000만원이 넘는 목돈을 마련할 수 있었다. 이 돈은 두 자녀의 대학자금으로 유용하게 사용됐다. 아직 개인회생 납입금을 갚아나가야 하고 자녀의 학비와 생활비 등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넉넉하지는 않다. 하지만 이 씨는 수기에서 “안되는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바닥까지 떨어져 봤으니 앞으로 올라갈 일만 남았다고 생각하면 없던 기운도 저절로 생긴다” 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앞으로도 자활사업을 통해 저소득층이 일을 하고 사회활동을 하면서 자립할 수 있는 힘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자녀 양육 및 채무 부담 등으로 일하기 어려운 여건에 있는 참여자를 고려해 그에 맞는 복지, 교육서비스 등을 연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국민 누구라도 스스로 일어서고자 하는 의지만 있다면 정부는 언제나 단단한 지지대 역할을 할 것이다.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