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노동계는 제도 개편으로 장시간 노동이 고착돼 근로자의 건강이 훼손될 수 있고, 사업주가 일한 시간만큼의 임금을 주지 않는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도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주52시간제 유연화를 위해서는 법 개정이 필수라, 노동계가 반대하는 상황에서 여소야대의 국회 문턱을 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
연구회 소속 권혁 부산대 교수는 이 자리에서 ‘주52시간제 유연화’로 대표되는 근로시간 제도 개편의 기본방향을 설명했다. 주된 내용은 주52시간제의 연장근로시간 관리 단위를 1주일에서 1달 이상으로 바꾸는 것이었다. 관리 단위로는 △월 단위 △월·분기·반기 △월·분기·반기·연 등 세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회는 이 같은 제도 개편이 장시간 노동을 유도해 근로자의 건강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근로자 건강 보호 조치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근로자의 건강 보호와 안전을 위한 보완방안도 함께 논의하고 있다”며 “연장근로시간 관리단위를 월 단위 이상으로 할 경우 근로일 간 11시간 연속휴식의 강제가 필요하다는데 다수 위원이 공감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연장근로시간 관리 단위를 확대하는 대신 근로일 간 11시간 연속휴식을 보장하면, 하루 최대 근로시간은 11.5시간까지, 일주일 기준으로는 최대 69시간으로 제한된다. 연구회 좌장인 권순원 숙명여대 교수는 “주69시간 근로는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한 것”이라며 “이외에도 여러 건강보호 조치를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회 발표 직후 노동계는 즉각 반발했다. 민주노총은 “연장 근로의 확대와 적용에 전제가 돼야 하는 노동자 건강권 등의 문제는 제도의 시행보다 후순위로 밀려나 있어 사후약방문식의 처방이 될 가능성이 매우높다”며 “노동시간 선택권에 있어서 ‘노사자율’을 이야기 하지만 노동조합, 당사자의 참여가 구조적으로 보장되지 않고 있는 현실 등을 감안하면 이는 사용자에 의해 허울뿐인 자율과 합의의 외피를 쓰고 진행될 우려가 매우 높다”고 비판했다.
한국노총도 ‘11시간 연속휴식권 강제’나 ‘휴가사용 확대’는 휴식권조차 제대로 보장되지 못하고 연차휴가도 제대로 소진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절대 보완책이 될 수 없다”며 “다시 말해, 연장·휴일·야간 노동시간을 휴가로 보상하거나 대체한다는 것은 사업주에게 일한 시간만큼의 임금을 안주는 수단으로 악용하는 길을 터주는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