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멱칼럼]'친절한 새 이웃' AI를 기대하며

하민회 이미지21 대표
  • 등록 2024-04-02 오전 6:15:00

    수정 2024-04-02 오전 6:15:00

[하민회 이미지21 대표]“ 나 꽤 잘한 것 같은데. 사과는 새 주인을 찾았고 휴지를 버렸고, 식기는 원래 있어야 할 곳으로 갔잖아.”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는 사람 닮은 로봇의 자화자찬이라니. SF영화인가 싶다.

최근 로봇 스타트업 피규어AI가 공개한 2분짜리 영상. 영상에 등장하는 휴머노이드는 테이블에 놓인 물건을 보고 그 용도와 쓰임을 파악한다. ‘먹을 것’을 달라면 사과를 건네고 휴지를 집어 쓰레기통에 넣으며 대화를 한다. 대충 놓인 컵과 접시를 자연스럽게 식기건조대로 옮겨 정리한다. 상황을 이해하고 할 일을 한다.

이 모델은 신속하고 섬세한 로봇 동작기술에 오픈AI의 시각적 추론과 언어 이해 기술이 결합된 시제품으로 언어적 이해를 통해 모든 행동을 스스로 한다.

미래가 성큼성큼 큰 걸음으로 오고 있다. 바로 1년 전만 해도 인공지능, 로봇은 넘겨다보기 어려운 과학자들의 영역이었다. 챗GPT가 등장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누구나 쉽고 편하게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른바 ‘AI 민주화’다.

AI 민주화는 AI기술의 개발과 사용, 혜택이 특정 국가, 기업, 엘리트 그룹에 국한되지 않고 인류가 함께 누릴 수 있어야 한다는 개념으로 여기엔 AI로 얻은 부를 고르게 배분하는 것도 해당된다.

AI가 진화할수록 AI 민주화가 자주 중요하게 거론되는 건 AI가 가진 혁신적이면서도 엄청난 잠재력을 소수가 독점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AI 민주화의 시작은 공평한 접근이다. 최근 AI의 대모로 불리는 페이페이 리(Fei-Fei Li) 스탠퍼드대 교수는 바이든 대통령에게 ‘국립 컴퓨팅 파워·데이터센터 웨어하우스’설립을 긴급 건의했다. 초거대 AI 모델 학습에 필요한 GPU가격이 5천만원을 넘어서면서 대학 차원에서 AI 연구가 더 이상 불가능 해졌기 때문이다.

컴퓨팅 파워로 인한 개발 접근의 어려움은 인재확보는 물론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2022년 기준, 빅테크가 발표한 AI 모델은 32개지만 미국 학계의 AI모델은 3개. AI연구가 지나치게 상업화되면 공익을 창출하는 공공부문 AI개발은 상대적으로 더 어려워진다. AI 경쟁력 세계 1위인 미국이 이런 상태이니 한국 상황은 더 말하기조차 민망하다.

AI기술은 종종 핵무기에 비견된다. 잠재력이 큰 만큼 파괴력도 크기 때문이다. 어떻게 활용하고 누가 통제하는가에 따라 우리의 일상은 물론 미래가 확연히 달라질 수 있다.

최근 “최악의 경우, 최첨단 AI시스템이 인류를 멸절시킬 수준의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미 국무부 의뢰로 AI관련 주요인사 200여 명을 1년여에 걸쳐 인터뷰한 결과물이다. 보고서는 AI의 핵심 위험요소로 ‘무기화’ 와 ‘통제력 상실’로 꼽았다.

하지만 미래를 절망적이고 위협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 여전히 미래는 우리가 만들어가고 아직은 선택권이 있기 때문이다. 미래 예측은 어렵다. 혁신적이고 연결의 폭이 넓을수록 더 그렇다. 복잡한 상황과 무수한 변수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AI기술과 미래상’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다. AI가 세계평화를 이루고 환경문제를 해결할 거라는 식의 거창한 기대 보다는 작고 사소하지만 AI가 일상을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의료, 교육, 복지 등 당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과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AI활용에 공동의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명확한 윤리적 기준을 세우고 관련 규제와 정책을 보완하고 국민 전반에 걸친 AI 리터러시(문해력)교육도 진행돼야 한다.

보고 듣고 말하고 일도 잘 하는 휴머노이드는 돌봄 노동에 투입돼 고령자와 약자를 돕고 혼자서도 영화를 만들고 누구나 보다 간편하고 쉽게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는 미래를 원하는가. AI 기술이 소수에게만 혜택과 풍요로움을 줄지 혹은 불평등을 줄이고 긍정적인 사회로 진화시킬지는 결국 우리의 결정이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청룡 여신들
  • 긴밀하게
  • "으아악!"
  • 이즈나, 혼신의 무대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