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14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한국경제의 돌파구로 ‘신남방정책’ 화두를 제시하면서 “신남방정책은 선택사항이 아니라 대한민국 번영을 이끌 국가발전전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인도 및 아세안의 고성장과 우리나라와의 경제·인적교류를 고려할 때 시너지 효과가 엄청나다는 것. 문 대통령의 신남방 외교로 국내 대기업들의 많은 숙원사업들도 착착 풀려 나가고 있다는 게 김 보좌관의 설명이다.
신남방정책은 인도 및 아세안(ASEAN, 동남아국가연합)과의 협력관계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한반도 4강 수준으로 끌어올리자는 것이다. 미국과 중국에 치우친 교역구조의 다변화는 물론 한반도 신경제지도의 핵심 축이다. 범정부 차원의 신남방정책 추진을 위해 지난 8월말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산하에 신남방정책특위까지 만들어졌다. 이데일리는 특위 위원장인 김 보좌관을 만나 신남방정책 주요 성과와 과제, 향후 전망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인터뷰는 지난 14일 오후 2시부터 청와대 연풍문에서 60분간 이뤄졌다.
다음은 김현철 경제보좌관과의 일문일답
-왜 신남방정책인가?
-주요 성과는?
△사람(People), 번영(Prosperity), 평화(Peace)의 3P 전략 제시에 아세안의 호응이 좋다. 상호방문만 연간 1000만명에서 2020년에는 1500만명까지 갈 수 있다. 아세안과의 교역은 1600억달러인데 중국과의 교역규모(2200억달러)에 거의 근접해가고 있다. 수출은 베트남이 벌써 일본을 추월했다. 2020년에 2000억달러도 가능하다. 신남방 11개국 모두 북한과 수교국이기 때문에 한반도 평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싱가포르에서 북미정상회담이 열렸고 인도네시아는 아세안게임에 남북단일팀을 초청했다. 2차 북미정상회담을 베트남에서 열자는 움직임도 있다. 우리 국민들과 기업들이 앞서갔고, 정부가 나서 정책적으로 그걸 백업하니까 금방 성과가 나는 구조로 가고 있다.
-아세안 국가 중 인도네시아와의 협력관계가 눈에 띄는데?
-신남방정책특위는 민간과 어떤 협력을 해왔나?
△그동안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금융기관, 학자, 외교관들과 간담회를 진행해왔다. 그분들의 경험과 지혜를 모아서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신남방 국가들에 진출한 중소중견기업의 최대 애로는 금융이다. 저희가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과 협의해서 1200억원을 대출 보증할 수 있도록 했다. 2020년까지 1조원 정도로 해외보증을 늘릴 계획이다. 중소 중견기업들의 아세안과 인도 진출 지원을 위한 토대가 마련됐다. 금융기관이 경우 지점을 내고 싶어도 해당국가의 인허가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국내 은행의 진출을 도와달라고 하면 풀리는 경우가 있다. 국민은행도 이러한 흐름 속에서 베트남에 진출했다. 대기업도 마찬가지다. 인도 갔을 때에는 삼성전자 휴대폰 공장 개소, 인도네시아에서는 롯데케미칼의 석유화학단지 공장 인허가와 관련해 각각 모디 인도 총리와 조코위 인도네시아 대통령에게 부탁하고 도움을 요청한 바 있다. 정상이 움직이면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금융기관까지 포함해서 숙원사업이 쫙 들어가는데 그걸 요청받으면서 하는 것이다.
-신남방정책 추진과 관련한 에피소드를 소개하면?
△문 대통령과 조코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궁합이 너무 잘 맞다. 지난해 인도네시아 순방 당시 두 분이 정상회담을 하다가 골프카트를 타고 동네시장에 간 적이 있다. 경호원들은 난리가 났고 윤영찬 수석을 비를 맞으며 시장까지 뛰어갔다. 두 분이 시장통에서 옷도 사입고 의기투합되니까 모든 협력관계가 풀리는 거다. 우리의 많은 숙원사업들이 착착 풀려나가고 있다. 지난 10월 한·아세안 정상회의 때 문 대통령이 대부분 정상들과 악수했는데 응웬 쑤언 푹 베트남 총리와는 뜨거운 포옹을 했다. 이게 베트남에 알려지면서 우리 기업의 현안을 해결하는데 적잖은 도움이 됐다. 베트남과 관련한 현안으로 수출기업 면세조치 폐지와 주재원 소득세 인상 조치가 있었는데 베트남 고위층에 풀어달라고 요청했는데 적극적으로 해소해주겠다고 했다.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