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4월 기업경기 실사지수(BSI)를 보면 제조업 업황BSI는 80으로 전월대비 3포인트 상승했다. 1년만에 최고치다. 수치만 놓고 보면 올 초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와 정부의 부동산 시장 활성화 대책이 효과를 보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박성빈 한은 기업통계팀 팀장은 “1년을 주기로 보면 기업들의 경기심리는 4~5월에 고점을 찍고 7~8월에 바닥으로 내렸다가 9~10월에 일부 회복하는 움직임을 보인다”며 “전월대비보다 전년 동기대비로 비교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BSI는 계절조정을 하면 평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 “좋아졌다기보다 더 악화되지 않은 정도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안동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한국은 제조업 비중이 크기 때문에 비제조업에서 경기 심리가 나아지더라도 전체 심리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때 적용되는 구성 가중치도 제조업 45%, 비제조업 30%으로 제조업이 1.5배가량 크다. 소비자심리지수(CSI)는 25% 반영된다. 박 팀장은 “국내총생산(GDP)에 영향을 미치는 비율로 가중치를 반영하기 때문에 제조업에 더 큰 비중이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최근 한은이 발표한 CSI도 여전히 세월호 발생 직후인 지난해 5월(104)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달 101에서 3포인트 올랐지만 경기 회복세라고 하기엔 미약한 상황이다.
최 교수는 최근 주식시장과 자산시장이 호황을 보이고 있는데 대해 “일정 자산가들이 포트폴리오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현상이기 때문에 국민 경제 전반으로 의미있는 변화가 아니라서 소비자 심리와 연결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 관련기사 ◀
☞ [통화보고서]유가하락, 美 금리인상과 겹치면 경제 불안
☞ [통화보고서]저유가로 물가 1.3%↓..디플레 가능성 낮아
☞ [통화보고서]가계대출 증가가 경기회복세 이끌어
☞ 이주열 총재, ASEAN+3 및 ADB 연차총회 참석차 출국
☞ 경제지표 '착시효과'..경기회복은 '제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