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지난 8일 조선·해운산업 구조조정 연석청문회서 한 발언이다. 그는 “물류 대응책을 세우려고 화주 및 운항정보를 산업은행을 통혜 수차례 요구했지만 전부 거부당했다”며 “개인적으로 개탄스럽다”고 하기도 했다.
정리하면, 현재 물류대란의 책임은 한진해운에 있지 정부로서는 최선을 다했지만 한계가 있었다는 얘기다. 회사가 더 이상 살아날 방법이 없어 법정관리에 가려면 사전에 준비 과정을 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반박은 현재 물류대란을 해소하는 키는 한진해운에만 있다는 논리로 귀결된다. 결국 한진해운이 돈을 더 내서 물류대란을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해운물류회장을 지낸 성결대 한종길 동아시아물류학부 교수도 “유럽까지 운항시간을 생각하면 법정관리 신청 전 5주전부터 배를 세웠어야 하는데 자율협약 중인 기업이 최소한 영업노력도 하지 않고 채권단 의사결정을 기다려야 한다는 한다는 말은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고 꼬집었다.
이쯤되면 정부와 채권단이 기존 대응 방식만 고수하기만 어려운 상황이 됐다. 한진해운이 청산하든 회생하든 핵심은 한진해운이 최소한 가동될 수 있는 기반은 마련돼야 한다. 더 이상 한진해운의 신뢰가 떨어진다면 청산할 수 있는 자산조차도 남은 게 없을 지경이다. 채권단이 건질 수 있는 돈이 거의 없게 되는 상황을 그대로 지켜만 볼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