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는 가장 우려했던 정치 리스크가 일단락됐다는 점에서 일단 안심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헌법재판소의 판단과 차기 대통령 선출까지는 앞으로 수개월이 더 남았다. 글로벌 경기둔화와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우리나라 산업 경쟁력은 매우 취약해진 상황이다. 당장 다음 달에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다. 리더십 공백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 파장이 예상보다 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수입물가 상승에 내수침체 우려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우리나라 경제는 어땠을까. 경제계 전문가들은 현 경제 상황이 더 좋지 못하다고 입을 모은다. 2016년만 해도 반도체 호황기에 양호한 수출 지표로 3%대 안팎의 성장률을 유지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저성장 기조 속에서 그나마 경제 성장을 이끌던 수출마저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수출이 자동차·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0.2% 감소하면서 올해 3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대비 0.1% 성장하는데 그쳤다.
|
정부 역시 비슷한 우려감을 드러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3일 발표한 그린북에서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가계·기업 경제심리 위축 등 하방위험 증가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美트럼프 대응 골든타임 놓칠라
정부·여당 주도로 추진했던 경제 정책 역시 탄핵 정국과 맞물려 한 치 앞도 예상할 수 없게 됐다. 반도체 특별법, 인공지능(AI) 기본법,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등 산업 지원 정책은 모두 뒷전으로 밀려날 처지에 놓였다.
이에 주요 경제단체들도 국회와 정부를 향해 한목소리로 혼란스러운 정국을 빠르게 안정화하며 경제회복에 힘써 줄 것을 당부하고 나섰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국정 공백이 최소화되도록 국회와 정부가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주길 바란다”고 했고,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정부는 비상 경제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국회는 초당적 차원에서 여야간 협치의 리더십을 발휘해 달라”고 촉구했다.
탄핵심판의 공은 헌법재판소로 넘어갔다. 이제 여·야·정은 비상계엄·탄핵사태로 흔들렸던 우리 경제를 되살리는데 집중해야 한다. 정치적 리스크가 더 이상 경제의 발목을 붙잡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