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호 농촌진흥청 청장은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스마트농업 기술을 식량문제, 농촌소멸 등 농업·농촌 문제에 폭넓게 활용할 것”이라며 “기업이 하기 어려운 데이터 표준화, 초기 데이터 구축 등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맡겠다”고 밝혔다.
|
농진청은 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농업 분야에 활용하는 10대 핵심 과제를 선정해 농업 분야 혁신을 선도할 계획이다.
주요 과제는 △스마트팜 최적 환경제어 시스템 △노지 정밀농업 시스템 △농업용 로봇 △농업 기상 예보 △AI 병해충 진단 △가축 관리 및 질병 조기 탐지 △디지털 육종시스템 구축 △데이터 기반 농업경영 진단 서비스 △디지털기반 농촌공간 재생 모델 개발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기술 등이다.
농진청은 스마트농업 실용화를 위해 데이터를 공개해 농업 기업들이 활용토록 하고 있으며 지역 농업기술센터에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 교육장을 조성해 누구나 방문·체험토록 지원 중이다.
조 청장은 “현장에서 농업인과 대면하는 도원·시군농업기술센터 담당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 담당자 교육과정을 추진 중”이라며 “지방농촌진흥기관과 농업기술진흥원, 농협, 대학기관과 공동 연계해 현장 지원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스마트농업 활성화는 청년농업인 육성과도 밀접한 관계다. 농업의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청년농을 농촌으로 유입해야 하는데 첨단 기술을 활용한 농업이 필수기 때문이다.
청년농 정책의 큰 그림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이끌되 농진청은 영농 정착과 기술 역량 향상 지원 등의 역할을 맡게 된다.
우선 농식품부는 매년 실시하는 청년 후계농 영농 정착 지원사업을 통해 경영 진단·분석 컨설팅을 지원한다. 정부가 조성하는 모태펀드인 영파머스 펀드 참여자를 선발하고 컨설팅·창업 교육을 지원해 우수 경영체를 육성하고 있다.
조 청장은 “정책사업을 통해 유입된 청년의 창농·창업·협업 지원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며 “영농 준비, 정착, 기술창업 과정에서 현장이 필요로 하는 정책·영농기술·법률·세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똑똑청년농부’도 작년 시범 운영과 올해 시스템 개선을 거쳐 내년부터 고도화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청년농업인 대학은 올해 21개소에서 2027년 50개소 이상으로 확대하고 청년농 단체인 4-H 회원과 연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조 청장은 “일단 청년농이 지방에 내려가면 적응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일단 기댈 수 있는 언덕이 필요하다”며 “청년 중심으로 회원이 늘어나고 있는 4-H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