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BOJ)의 통화정책 정상화 시점을 묻자 이지평 한국외대 특임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이 교수는 BOJ가 이르면 내년 초 마이너스 금리 종료 등 본격적인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설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BOJ가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미국과의 실질금리 차를 생각하면 과거 같은 엔고 현상은 어렵다는 게 이 교수의 진단이다.
|
BOJ는 2013년부터 마이너스 단기금리와 YCC 정책 등 과감한 통화 완화 정책을 펴왔다. 그런데 지난 4월 우에다 가즈오 총재가 취임하면서 BOJ의 정책 기류가 달라졌다는 게 이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우에다 총재는 (2%를 훨씬 넘는) 물가 오버슈팅은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현재 3%대인 물가를 2%대로 억제하는 것이 BOJ의 지상 과제”라고 했다. 엔저를 유도하고자 목표치를 넘어서는 인플레이션을 용인했던 구로다 하루히코 전 총재 때와는 달라졌다는 것이다. 물가 급등으로 실질임금이 낮아지면 일본 정부와 BOJ가 지향하는 ‘물가와 임금의 선순환’을 실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교수가 늦어도 내년 춘투를 전후해 BOJ가 움직일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다.
BOJ가 긴축으로 전환하면 환율은 어떻게 될까. 그는 “달러당 135~145엔, 엔·원 재정환율로 100엔당 900~1000원 정도가 적정한 수준”이라며 “그래도 과거 같은 엔고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BOJ가 단기금리를 급격하게 올리기 어려울뿐더러 연방준비제도(Fed)가 긴축 기조를 바꾸지 않는 한 실질금리 차가 4~5%포인트대 유지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