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시장 참여자 대부분이 현재의 수요예측 제도가 IPO 기업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IPO 호황기로 불리는 지난 2021년 IPO 기업들의 공모가가 희망밴드 상단 이상에서 확정된 비중은 94.9%다. 올 들어 공모가가 100% 상단 이상에서 결정된 것이 지나치게 높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특히 기술특례 등 신기술 기업에 대해 주관사가 공모가를 적정하게 책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평가다. 파두 사태 이후로 특히 기술특례 기업들의 공모가를 두고는 논란이 지속하는 중이다. 이 때문에 IPO 시장이 흥행하는 상황에서도 기술특례 기업을 중심으로 상장 일정이 연기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지난해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상장 기업들의 예비심사 청구일부터 상장일까지 소요된 기간은 평균 215일로, 최근 3개년(2020~2023년) 169일 대비 한 달 이상 늘어났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금융투자협회가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는 공모가 결정 기준에 따른 공모가가 시장에서 적절한 가격으로 인식하게 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기업 가치는 금리 등 여러 변수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는 발상은 문제”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일본이 앞서 시행한 IPO 수요예측 제도 개선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일본 금융당국은 지난 2022년 공모 예정가격의 폭을 넓히면서 사전에 기관 투자자의 수요 정보를 알아보고 공모 예정가격을 산정하도록 해 시장 정보를 반영한 공모가가 책정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주관사가 IPO 기업에 공모가 결정의 근거를 충분히 설명하도록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