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일각에서 제기된 미국 국채금리 상승이 아시아 신흥국 통화가치를 떨어뜨려 아시아로 유입됐던 글로벌 자금이 이탈하도록 할 것이라는 우려를 반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미국 국채수익률 곡선이 가팔라지는 상황 하에서도 아시아 통화가치는 절하 압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달 들어 미국 10년만기 국채금리가 1% 위로 올라서면서 이머징마켓 자산에 대한 투자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지만, 과거 2013년과 2018년 사례를 보면 아시아 통화가치는 수익률곡선 스티프닝 시기보다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해 커브가 플래트닝(Flattening·평탄화)되는 시기에 오히려 더 큰 충격을 받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이 지난해 2.3% 성장하는 등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성장세를 강하면서 아시아 통화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시기까지는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는 점쳤다.
쿤 고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뱅킹(ANZ)그룹 아시아리서치담당 대표는 “현재 시장금리 상승의 주요 동력은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 아니라 미국 정부의 재정적자가 확대되면서 경제 성장은 반등하고 인플레이션이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라며 “특히 아시아 경제 성장세가 더 강하면서 미국 국채금리 상승 영향을 약화시킬 것으로 보여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유입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미 재무 장관에 내정된 재닛 옐런 전 연준 의장이 달러화에 대해 보이고 있는 스탠스도 이 같은 전망에 한몫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옐런 장관 내정자는 미 상원 재무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미국 정부는 달러화 가치를 시장에서 결정되도록 할 것”이라고 발언할 것으로 알려졌다.
스티븐 치우 블룸버그인텔리전스 외환 및 금리 담당 스트래티지스트는 “아시아 통화가 단기적으로 조정에 직면할 순 있겠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과 그에 따른 경제 악화 우려로 인해 달러화 반등과 시장금리 상승이 동반해서 지속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점쳤다.
특히 그는 “연준은 2023년까지 제로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이고 자산 매입도 지속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달러화 약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그는 아시아달러인덱스가 올해 최대 10% 더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