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직연금의 보수적인 투자 성향과 맞물려 수급권에 대한 안전장치 미비 등으로 투자 수익률이 그리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 DC형 IRP 주식투자 비중 1.7% 그쳐..보수적 투자 성향
28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퇴직연금의 단계적 가입 의무화 △추가납입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확대 △자산운용 규제 완화를 통한 수익률 제고 등을 골자로 한 ‘사적연금 활성화 대책’을 내놨다.
공적연금인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이 2028년 40%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퇴직연금을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한 셈이다. 하지만, 대책을 통해 그동안 부진했던 연금의 소득대체율을 높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대신증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현재 퇴직연금 적립금은 87조5102억원. 이 가운데 주식에 투자된 비중은 0.7%에 불과하다. 특히, 확정기여형(DC) 및 개인형 퇴직연금계좌(IRP) 가입자의 주식투자 비중은 고작 1.7%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런 투자 성향 때문에 전문가들도 정부가 퇴직연금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DC형과 IRP의 총위험자산 투자 한도를 70%까지 상향 조정했지만, 수익률이 높아질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고 지적한다.
강승권 대신증권 연구원은 “DC형 및 IRP의 매우 낮은 위험자산 투자비중을 고려할 때 총위험자산 투자 한도가 확대된다고 해도 그 영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기준 확정급여형(DB)의 비중이 72%로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도 이런 가입자의 보수적인 성향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 ’20년 퇴직연금 1인당평균 2400만원..노후소득보장 효과 제한적
하지만 정부가 내놓은 가입자 보호 대책은 미흡한 수준이라는 평이다. 오는 2020년까지 DB형 100% 사외적립 강화와 DC와 IRP에 대한 5000만 원 예금자 보호가 전부다. 수급권에 대한 강력한 ‘보호장치’가 없는 셈이다.
실제 기획재정부는 “국민연금의 노후소득보장 소득대체율이 40% 정도 된다”면서 “일반 선진국의 보장률 70%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을 통해 20~30% 수준의 노후소득 보장이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한다.
정부는 이번 활성화 대책으로 2020년 말 가입자 수는 700만 명, 적립금 규모는 170조 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사실상 1인당 평균 2400만 원 정도에 불과한 수준으로, 소득대체율 상승효과를 기대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이 공적연금 운용의 한계를 보완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제기한다. 현재 국민연금은 430조 원, 개인연금도 200조 원에 이르지만, 퇴직연금은 80조 원 정도다.
김용하 순천향대 금융보험학과 교수는 “공적연금이나 개인연금은 이미 성숙 단계에 돌입했다”면서 “퇴직연금이 마지막 남은 시장으로 정부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