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관계자는 26일 이데일리와 통화에서 “다음달 기시다 총리의 방한과 관련해 구체적인 시기와 어떤 형식으로 양자 회담을 진행할지 몇 개의 안을 가지고 일본 측과 최종 조율 중에 있다”고 말했다.
이번 방한 일정은 앞서 기시다 총리가 다음달 27일 자민당 총재 선거에 불출마를 밝히기 이전에 요청한 사항이다. 기시다 총리가 임기를 불과 3주 앞두고 양자회담을 진행하는 것은 차기 일본 총리와 자민당 정권이 해빙모드인 한일 관계를 계승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윤 대통령 취임 이후 급속도로 개선된 한일 관계 및 한미일 3각 공조 체제 가동을 기시다가 총리가 본인 임기 중 최대의 성과로 내세울 가능성도 있다.
한일 양국은 직전 문재인 정부에서 지소미아(GSOMIA·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중단, 수출 품목 규제·화이트리스트(수출관리 우대 대상국) 배제 등으로 극심한 갈등을 겪으며 최악의 상황을 맞았다. 하지만 윤 대통령이 집권한 이후인 지난해 3월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 문제 관련 ‘제3자 변제’ 문제를 발표한 이후 관계가 급속도로 개선되기 시작했다. 해당 대책과 관련해 국내 여론의 반발이 있었지만, 정부는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재단)을 통해 배상금·지연이자를 지급하는 해법을 내놨다. 이후 한일 정상 간 ‘셔틀외교’ 가 복원돼 그동안 11차례의 정상회담을 진행하면서 직전 정부에서 끊어졌던 외교관계를 정상화하는 성과를 거뒀다.
내년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하는 만큼 양 정상은 중대한 대외적 이벤트를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 양국 경제 협력 등이 재가동됐지만 아직 일본 강제 동원 문제 등 관련해 국민적 정서가 우호적이지 않은 만큼 기시다 총리가 윤 정부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전향적 메시지를 낼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지난 광복절 경축사에서 윤 대통령이 이례적으로 일본과의 과거사를 언급하지 않을 것과 관련해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이 ‘중일마’(중요한 것은 일본의 마음)을 발언한 것이 적잖은 논란이 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