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 공백 사태라는 초유의 상황을 맞이한 국민의당은 당분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가동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위기일까? 기회일까?
안철수 공동대표가 당 지도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대표직을 내려놓은 것은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부담을 덜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안 대표의 최측근인 박선숙 의원과 관련한 검찰 수사가 진행되고 관련 의혹이 언급될수록 안 대표의 책임론은 계속 제기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부 안 대표가 여론에 떠밀려 사퇴를 결정하는 모양새를 나타내면서 다소 늦은 감이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더 늦기 전에 결단을 내린 것에 대해서는 그나마 다행이라는 시각도 있다. 특히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원칙론을 내세우기보다는 누군가는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야 하지 않겠냐는 주장도 제기됐다.
안 대표 또한 이번 사퇴 결정으로 차기 대권주자로서도 치명타를 입었다. 당초 이번 사태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안 대표의 불안정한 리더십도 도마위에 올랐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오히려 재발방지책을 마련하는 등 당내 혁신을 이뤄낼 경우 다른 당과의 차별화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대선까지는 아직 여유가 있다”면서 “안 대표가 진실로 반성하고 책임지는 모습을 보인다면 단순히 당 대표 사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변화된 모습을 보여야 하지 않겠냐”고 말했다.
비대위 체제 전환하나
지도부 공백 사태에 직면한 국민의당은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고,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당 대표를 선출하는 방식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
다만 일부 최고위원이 동반사퇴 의사를 밝히고 있어 대표 대행체제가 이뤄질 지 미지수다. 또 당헌은 궐위된 날을 기준으로 2개월 이내에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 당 지도부를 선출토록 되어 있지만 당장 전당대회를 열 정도로 여력이 되지 않는다. 현재 국민의당은 조직강화특별위원회를 구성해 156개 지역의 지역위원장을 선출했지만 조직·체계도 정비돼 있지 않은 상황이다.
박 원내대표는 이와 관련해 “몇분의 최고위원들은 본인도 동반사퇴하겠다고 하고 있다”며 “조강특위에서 (지역)위원장 일부를 선정한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체제정비가 안 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비대위 체제로 넘어갈 경우 비대위원장은 박 원내대표가 맡을 가능성이 농후해 보인다. 다만 개원 초기에 원내대표와 비대위원장직을 겸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외부에서 영입하는 방안도 있지만 짧은 시간에 마땅한 인물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일각에서는 정동영 의원·김한길 전 의원 등도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