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한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 원화의 국제화를 시도할 수 있는 기회를 맞고 있지만, 협소한 금융시장과 북한 리스크, 과도한 금융규제 등으로 그 보폭을 스스로 좁히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원화의 국제화에 앞서 태환성 확대가 선결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일각에서는 "태환성 문제는 개별국가 차원에서 개선할 수 없는 만큼 한중일 통화인덱스(Index) 등 신흥국 시장지수를 정착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국 이미 선진국..원화 국제화만 요원" 전문가들은 모두 "한국은 원화의 태환성 부족을 제외하면 이미 선진시장"이라고 입을 모았다. 원화의 국제화가 태환성 극복 없이는 불가능하다면서 한국은 태환성 극복에 중점을 둬야한다는 지적이다.
리우 셍준 중국유럽국제경영대학원 국제금융연구소 부소장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은 원화의 국제화에 있어 좋은 계기이자 기회가 될 것"이라며 "탄탄한 외환보유고와 높은 국내총생산(GDP), 안정적 거시경제환경, 성숙한 금융규제 등은 한국이 원화의 태환성 부족을 타계할 좋은 기회"라고 분석했다.
다만 협소한 외환·금융시장과 북한의 지정학적 리스크, 정부의 과도한 금융규제 등은 원화 국제화를 가로막는 제약조건으로 지목됐다.
마이클 헬벡 SC은행 부행장은 "한국이 (규제를 통해) 미시적으로 자본계정 등을 통제하려는 것은 위험한 사고"라며 "한국은 자본유출입이 자유롭게 일어날 수 있도록 균형점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과도한 규제를 문제삼았다.
리우 부소장은 "북한이 어떤 방식으로든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원화의 태환성 확대에 장애요인"이라며 "외국인들에게는 큰 불안요인으로 작용해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독자적인 국제화는 한계..병행 추진해야" 한국이 독자적으로 원화의 국제화를 추진하기엔 여러 가지로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때문에 통화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는 중국, 일본 등과 동아시아 3국 통화인덱스를 구성해 원화 국제화를 위한 기반을 착실히 다져나갈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최공필 금융연구원 상임자문위원은 "태환성 문제는 국가차원에서 개선할 수 있을게 아니다"며 "유럽연합의 유로화 같은 실패를 따라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흥시장지수를 정착시키는 방안 등이 논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니 미쉘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초빙교수도 "이럴 경우 엔화는 하락하는 반면 위안화의 경우 과거의 부담에서 벗어나며, 원화는 힘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이런 통화협력체제, 스왑(Swap)체제를 구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 같은 주장이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반박도 나왔다. 김준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장 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경상수지, 수출입 등 아시아 시장은 사실 달러화 거래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러한 상황에서 달러화 중심 거래에서 벗어나 다른 통화로 이행한다는 것이 쉽진 않은 상황"이라며 부정적 의견을 드러냈다. ▶ 관련테마기획 ◀ ☞2012 국제금융컨퍼런스
▶ 관련포토갤러리 ◀ ☞국제금융컨퍼런스(IFC) 2012 사진 더보기
▶ 관련기사 ◀ ☞[IFC2012]김용환 "해외 플랜트, 차별화된 금융전략 필요" ☞[IFC2012]리우 셍준 "원화 국제화, 한미FTA가 기회" ☞[IFC2012]엘든 "외국자본에 대한 인식전환 필요" ☞[IFC2012]권혁세 "`신성장엔진` 금융 경쟁력 확보 시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