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검찰에 따르면 지난 13일 인천 송도에 있는 포스코건설 본사를 압수수색한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 수사팀은 회계장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분석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압수물 분석이 끝나면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받고 있는 관계자 소환도 진행할 계획이다.
포스코건설 비자금 수사를 시작으로 2013년 9월 국세청 고발로 불거진 포스코 P&S의 1300억원대 탈세 사건과 2010년 포스코가 시세보다 높은 가격에 인수한 성진지오텍(현 포스코플랜텍)에 대한 수사도 탄력받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P&S는 포스코가 생산한 철강 제품을 가공·판매하는 업체다.
특히 검찰은 그룹 전반으로 수사를 확대해 정준양 전 회장 시절 포스코가 부실 자회사 인수 등으로 경영실적이 악화되는 과정에서 전 정권 실세의 개입이 있었는지도 밝혀낸다는 계획이다.
2013년 기준 포스코의 연결기준 실적을 보면 정 전 회장이 취임하기 전인 2008년 대비 매출은 늘고 이익 규모는 줄었다. 포스코는 2008년 매출액 41조 7426억원, 영업이익 7조 1739억원, 순이익 4조 3501억원을 달성했다. 2013년에는 매출액은 61조 8646억원으로 급증했지만 영업이익은 2조 9961억원, 순이익은 1조 3551억원으로 급감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진행되면서 철강 제품의 가격이 하락한 영향이 컸지만 부실 계열사 인수도 포스코 부실에 일조했다.
포스코는 지난 2010년 3월 부도 직전의 플랜트업체인 성진지오텍 지분 40.4%(1234만5110주)를 1593억원에 인수, 논란을 빚었다. 주당 인수가격은 1만 2900원으로 2월 말 주가 9030원 대비 40% 이상 높았다. 성진지오텍은 2008년과 2009년 각각 순손실 1910억원, 64억원을 기록하는 등 경영난이 심각한 상황이었다.
포스코는 성진지오텍뿐만 아니라 대우인터내셔널·포스코엘이디·부산이앤이·순천 에코트랜스·포스코이에스엠 등 타법인 지분 인수에 자금을 투자했다. 아울러 원재료 구매협상력 강화와 해외에서의 생산·판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해외에서 대규모 현지투자를 지속했다. 한국기업평가는 지난해 포스코에 대해 대규모 투자에 따른 영업수익성 제고 효과는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며 해외 철강 자회사가 재무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국내와 해외에서 진행한 막대한 투자가 의도했던 것과 달리 경영 악화로 이어진 셈이다. 검찰은 정 전 회장 선임 당시 이명박 정권 실세가 개입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던 것과 이후에도 교류가 깊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법조계는 검찰이 포스코건설 횡령 혐의를 밝히기 위해 대형 비리사건을 주로 수사하는 특수2부에 사건을 배당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전 경영진과 정권 실세의 연결고리에 대한 정황을 밝혀내기 위한 수사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