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적 초기 원위부 위암에서는 위(胃) 하부 3분의 2을 절제하고 남은 위를 소장과 연결하는 원위부 절제술을 시행하는데 복강경을 이용하는데 범위에 따라 ‘전복강경 윈위부 위절제술’과 ‘복강경 보조하 위절제술’로 나뉜다.
그동안 많이 선호되어 왔던 복강경 보조하 위절제술은 복강경을 이용하여 위 박리와 림프절 절제 후 박리된 위를 복부의 작은 창을 통해 몸 밖으로 꺼내서 원위부 위를 절제하고 남은 위를 소장과 문합하는 수술법이다. 이 수술법은 수술이 비교적 쉽고 문합된 부분의 누출, 출혈 등의 합병증이 적다고 알려져 왔다.
하지만 절제할 위를 배 밖으로 꺼내기 위해 추가적으로 환자 명치 부위에 5cm 정도의 상처를 내야 하기 때문에 복강경 수술이 가지고 있는 최소 침습수술의 장점이 퇴색되는 면이 있다.
이주호 교수팀은 전복강경 위절제술의 유용성과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지난 2011년 2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이대목동병원에서 원발성 위암 환자 110명을 무작위로 배정해 전복강경하 원위부 절제술 또는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을 시행하고 두 수술간의 안전성과 임상적 결과에 대해 비교 분석했다.
이주호 교수는 “위암 수술에 복강경이 도입되던 초창기에는 안전성의 문제 때문에 복강경 보조하 수술이 선호되어 왔지만 수술 경험이 쌓이면서 전복강경 수술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 ”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두 수술 간 안전성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인천성모 김용욱 교수, 단일공법 복강경수술 3000례 달성
☞ 이윤석 교수, 직장암 복강경 라이브 서저리 성공적 시연
☞ 서울대병원, 감마나이프수술 7천건 달성
☞ 난치성 당뇨, 위축소우회술로 치료...3년 후 더 효과, 수술도 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