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물가는 코로나19 여파가 크게 미쳤던 올해 5월 0.3% 하락한 후 7월(0.3%)에 이어 두달 연속 상승했다. 다만 여전히 1% 미만의 저물가는 이어지고 있다.
물가의 근원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0.8% 올랐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0.4% 상승했다. 전체 물가 조사 품목 460개 중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1개 품목으로 구성한 생활물가지수는 0.5% 올랐다.
해산물이나 채소·과실 등 계절·기상 조건 영향이 큰 50개 품목으로 조사한 신선식품지수는 15.8% 급등했다. 신선식품의 가격 상승세가 전체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다.
실제 품목성질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은 1년새 10.6% 올랐다. 채소류가 28.5% 급등한 것을 포함해 농산물이 12.1% 올랐고 축산물도 10.2% 상승했다. 농축수산물의 소비자물가 기여도는 0.81%포인트에 달한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폭보다 높은 수준이다.
소비자물가를 깎은 요인은 각각 4.4%, 0.4% 내린 전기·수도·가스와 공업제품이다. 국제유가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공업제품 중 석유류는 10.0%나 하락했다. 전기·수도·가스와 공업제품의 기여도는 마이너스(-) 0.30%포인트다.
주요 품목별로 보면 배추가 69.8% 뛰었으며 고구마(56.9%), 호박(55.4%), 토마토(45.4%), 돼지고기(16.2%) 등이 크게 올랐다. 공업제품 중 햄 및 베이컨(7.9%), 구두(7.0%), 수입승용차(5.7%) 등이 올랐고 등유(-14.1%), 경유(-13.7%), 휘발유(-8.7%) 등이 떨어졌다. 도시가스와 지역난방비는 각각 10.3%, 2.6% 내렸고 무상교육 영향으로 고등학교 납입금(-67.9%)도 하락했다.
지출목적별로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가 6.6% 오른 것을 비롯해 기타 상품 및 서비스(2.0%), 보건(1.5%), 의류 및 신발(1.1%) 등이 상승했다. 코로나19로 단체 모임이나 외출이 줄면서 교육(-2.8%), 교통(-2.7%) 등은 하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