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방송 재전송료(지상파 측 저작권료)와 VOD 공급 대가에 대한 개괄적인 합의가 임박한 가운데 양측은 출혈을 피하기로 합의했다.
케이블, 지상파와 VOD·재전송료 합의 임박
케이블 측에 따르면 지상파 방송사들은 VOD와 재전송료를 연계한 패키지 형태로 공급할 것을 요구했다. 무료VOD 공급 대가를 가입자당 산정방식(CPS)로 전환하고 재전송료에 대한 CPS도 함께하는 인상하는 방식이다.
더불어 지상파 방송사 측은 지역단위케이블TV사업자(개별SO)들로부터도 재전송료를 받겠다는 방침이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올해 1월 이후 두차례 디지털케이블TV가입자(씨앤앰 제외)들에 대한 VOD 공급을 중단하며 SO를 압박했다.
이에 따라 일부 MSO 사업자는 지상파 방송사 측과 재전송료 인상에 잠정 합의한 상태다. 익명을 요구한 MSO 관계자는 “명확하게 부정도 긍정도 할 수 없다”면서도 “가닥이 잡혔을 것”이라고 전했다.
케이블, IPTV 대비 경쟁력 저하 우려
연초만 해도 지상파 방송사들의 요구에 강경했던 SO들은 IPTV 대비 경쟁력 하락을 우려했다.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IPTV 3사는 지난해 말 지상파 방송사들과 무료 VOD 공급 대가에 대해 합의했다.
연간 정액제 단위로 무료VOD 공급을 계약하던 방식에서 CPS 방식으로 바꾸기로 한 것. KT를 시작으로 IPTV 3사는 받아들였다.
지상파 방송사 측은 SO들과도 같은 조건에 협상에 나섰다. 이들은 추가로 개별SO들에 대한 VOD 공급 중단을 합의 조건으로 내걸었다. 협상은 난항을 겪었고 1월 1일부터 지상파 3사의 신규 VOD가 케이블TV 측에 공급되지 않았다.
IPTV로부터 가입자를 빼앗기던 케이블 사업자 입장에서는 지상파 VOD 공급 중단은 부담이었다. SO들은 방송광고 블랙아웃까지 불사했지만 결국 지상파의 요구 조건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 지상파 방송사들과 재전송 대가를 놓고 소송전을 벌였던 개별SO들도 원칙적으로는 재전송료 지급에 동의한 상태다.
수익성 저하 지상파 방송사, 새 수익원 ‘골몰’
지상파 방송 광고 판매대행사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와 미디어크리에이트에 따르면 올해 1월, 2월 지상파 방송 3사의 광고매출(TV, 라디오 합계)은 전년동기 대비 약 24% 폭락했다. 월매출 기준 1000억원 이하다. 한국방송협회 관계자는 “1999년 1월 IMF 구제금융 이후 최악의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PP와 종편의 광고 매출은 증가 추세다. 제일기획이 발표한 지난해 2015년 대한민국 총 광고비 결산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들의 광고 매출 증가율은 16.7%다.
이를 두고 방송 업계 관계자는 “광고시장이 어려워지면서 지상파 방송사들이 돈 벌기에 더 몰릴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배경으로 지상파 방송사들이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를 반대한다고 추정했다. 방송협회 측은 성명서를 통해 “SK텔레콤의 콘텐츠 활성화 계획이 방송 공익성 증대와는 전혀 무관하다”며 “자사에 우호적인 제작사 위주로 콘텐츠 생태계를 줄 세운다”고 주장했다.
달리 말하면 SK텔레콤이 CJ헬로비전 인수합병 조건으로 내세운 콘텐츠 투자 대상이 지상파방송인 자신들에게만 한정돼 있지 않다는데 따른 불안감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