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수준의 조치였다는 응답은 16.2%(28명)에 그쳤고 보여주기식 징계에 불과하다는 반응도 9.8%(17명)였다. 기관과 임직원 모두 중징계하는 것이 옳다는 의견도 14.5%(25명) 나와 눈길을 끌었다.
시장 참여자 대다수가 기관의 징계는 무겁게 하고 임직원 징계는 가볍게 하는 것이 옳다고 보는 데에는 ‘시스템이 나쁜 것이지 사람이 나쁜 것은 아니’라는 정서가 깔려있다.
기업 신용등급을 부여하는 것은 신평사 연구원이나 평가담당 실장, 임원 등 개인이 주는 것이 아니라 조직적인 결정이다. 가령, KB금융지주의 신용등급을 ‘AAA’로 평가했다는 것은 한 신평사 개인의 결정이 아니라 회사의 대표 의견이라는 것.
물론 SRE 자문단 내부에서도 의견이 다소 엇갈렸다. 다른 SRE 자문위원은 “결국 시스템을 만드는 것은 개인”이라며 “책임지지 않는 시스템보다 개인에게 책임을 지워야 시스템이 바뀐다”고 논리를 폈다.
금융당국은 기관에 대한 징계 결정은 간단치가 않다고 설명한다. 신평사는 금감원 제재심에서 ‘기관경고’를 받았는데 기관경고는 일반 금융회사로 따지면 ‘중징계’에 해당한다. 인수합병(M&A)이나 신사업 진출이 일정기간 제한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평사들은 과점시장 구조를 갖고 있어 인수합병을 하거나 신사업에 진출할 영역이 사실상 없다. 기관경고를 받았지만, 실질적으로 제한되는 업무가 없어 ‘경징계’에 해당하는 것이다.
결국 징계로 인해 실질적으로 제한되는 업무는 없지만, ‘기관주의’보다는 무거운 ‘기관경고’를 줌으로써 상징적인 의미에서 기관에 대한 책임을 물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 기사는 이데일리가 제작한 ‘21회 SRE’(Survey of Credit Ratings by Edaily)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21회 SRE는 2015년 5월11일자로 발간됐습니다. 문의: stock@edaily.co.kr]
▶ 관련기사 ◀
☞ [21st SRE]“공기업 자체 신용도 공개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