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지난해 1월 첫 시행 이후 20회를 넘긴 ‘문화가 있는 날’은 절반의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양적으로는 괄목할 성과를 거뒀지만 내부적으로 들여다보면 가야 할 길이 멀기 때문이다.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는 물론 민간참여의 활성화 역시 여전한 걸림돌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최근 기업이나 학교에 ‘문화가 있는 날’을 자율적으로 확대·운영하는 ‘문화가 있는 날 플러스(+)’ 제도를 시행하고 ‘문화가 있는 날’ 근거 규정을 마련하기 위한 문화기본법 개정 의사를 밝힌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만족도·인지도 확대’…양적으로 괄목할 성장
‘문화가 있는 날’의 양적인 성과는 대단히 높다. 첫 시행 이후 참여프로그램과 협력기관이 늘어난 것은 물론 인지도와 만족도 역시 크게 높아졌다. 이는 각종 공연·전시프로그램에 할인이나 무료입장 등 다양한 혜택을 부여해 실제로 국민의 문화생활 참여가 늘어난 덕분이다.
인지도 역시 지난해 1월 19%를 시작으로 꾸준히 증가해 지난달에는 45.2%를 기록하면서 두 배 이상 급증했다. 만족도 또한 지난해 11월 71%에서 지난달 80.4%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문화가 있는 날’ 참여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재참여율은 96.5%, 추천의향은 97.3%라는 기록적인 수치를 나타냈다.
◇평일 한계·민간참여 부족 등 걸림돌 여전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문화가 있는 날’의 활성화를 위한 걸림돌은 남아 있다. 상대적으로 정보접근성이 낮은 지역민이나 계층에선 정책인지도가 낮다. 또 직장인 등이 참여할 수 있는 시간적 제약 등으로 실질적인 한계가 적지 않다. 아울러 민간할인 프로그램과의 낮은 차별성은 물론 킬러 콘텐츠가 부족한 것도 개선해야 할 사항이다.
이동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는 “직장인의 참여 활성화를 위해 노동시간 단축 등 이른바 ‘저녁이 있는 삶’을 보장해야 한다”며 “문체부가 관계 당국과 협의해 참여기업에 인센티브를 주거나 수요일 조기퇴근제 시행 등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노인, 청소년, 주부 등 문화접근이 어려운 계층이 보다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관련기사 ◀
☞ 9월 문화가 있는 날① 학교로 회사로…지친청춘 위로한다
☞ 9월 문화가 있는 날② '절반의 성공' 갈길은 멀다